다음주까지 이어지는 청문회에선 유남석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와 이은애·이영진 헌법재판관 후보자,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비롯한 장관 후보자 5명이 검증대에 오른다. 유남석 후보자는 국제인권법연구회 전신인 우리법연구회 창립 멤버여서 코드 인사 논란에서 자유롭지 않다. 다른 후보자들은 위장전입, 다운계약서 작성, 논문 표절 등 각종 의혹에 휘말린 상태다.
야당은 이번 인사청문회에서 현역 의원인 장관 후보자가 청문회를 무사 통과하는 ‘의원 불패 신화’를 깨겠다고 벼른다. 장관 인사청문회가 도입된 2005년 이후 현역 의원이 낙마한 적이 한 번도 없다. 김병준 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은 “국회의원은 인사청문회 불패라는 것 역시 국회의원의 기득권”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의 지적에 수긍하는 국민이 적지 않다. 빈말이 되지 않도록 하려면 철저한 준비와 사전 조사가 필수다.
하지만 출발부터 허술해 미덥지가 않다. 인사청문특위는 청문회 시작 당일에야 첫 전체회의를 열어 특위 위원장과 여야 간사 선임 안건을 의결하고 인사청문 실시계획서를 채택했다. 결국 증인·참고인 소환을 하지 못하고 자료 제출 요구가 지연돼 부실하게 청문회가 진행됐다. 이런 식으로는 인사 검증이 제대로 이뤄질 수 없다. 국회가 차분하게 들여다보고 능력이나 자질이 없는 부적격자를 모두 걸러 내야 한다. 헌법재판소의 중립성과 공정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는 편향 후보자는 부적격 1순위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현역 의원이라고 해서 검증 기준이 낮아져서도 안 된다. 국회 인사청문회가 이번만큼은 제 역할을 다하기를 바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