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4일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과 함께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지원을 위한 통합결제 기술개발 및 시범운영 연구개발(R&D)’ 과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연구기간은 내년 12월까지로 총 32억원(정부 19억원, 민간 13억원)이 투입된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발주한 이번 연구과제는 한국교통안전공단을 비롯해 KT, 서울대, 홍익대 등 9개사가 참여한다.
국토부에 따르면 전체 이동 수단을 단일 플랫폼으로 통합하고 이용자가 해당 플랫폼에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 MaaS(mobility as a service)가 덴마크, 핀란드 등 해외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다양한 교통수단이 있지만 교통 운영사 간 요금 정산의 어려움 등으로 통합결제 시스템 도입이 늦어지고 있다.
이에 국토부는 다양한 교통수단 간 연계성을 높이고, 수요자 중심의 경로 맞춤형 교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기술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국토부는 또 이번 연구에서 지문, 홍채, 안면인식 등 바이오 인증 기술과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QR코드 등 개인기기를 통한 인증 기술개발에도 나선다.
아울러 교통 운영사 간 요금 정산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블록체인(Block chain) 기반의 정산 플랫폼을 개발한다.
김선영 기자 00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