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사진 |
교육부는 올해 지원 대학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100점 만점) 중 학교교육 중심 전형 운영을 위한 ‘수능 성적의 합리적 활용 및 개선 노력’에 3점을 배정했다. 교육부는 각 대학에 발송한 안내문에서 “수험 부담 완화 측면에서 폐지를 권장한다”며 “수시모집 내 수능 최저학력 기준 축소·폐지는 (사업 대상 선정 과정에서)중요한 평가요소”라고 강조했다. 2016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에 수험생이 선호하는 서울대·고려대·연세대·이화여대 등 수도권 주요 대학과 전남대·경북대 등 지방 거점국립대가 다수 포함된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정부가 수능 최저학력 기준 폐지를 강하게 요구한 셈이다.
이 같은 교육부 입장은 수험생 학습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서다. 수험생들이 선호하는 대학 대부분이 최저학력 기준을 적용하다 보니 학생생활기록부 종합전형 등 수시 전형을 준비하면서도 정시 전형인 대학수학능력시험도 대비해야 하는 부담이 크다. 교과·비교과·수능을 모두 준비해야 한다는 점에서 ‘죽음의 트라이앵글’로도 불린다.
이강은 기자 ke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