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는 민·관 전문가 14명으로 구성된 ‘MRO 사업계획 평가위원회’ 심의결과를 토대로 KAI를 정부 지원 MRO 사업자로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애초 아시아나항공이 충북 청주를 기반으로 해 이 사업 유치에 나섰으나 경영 악화로 손을 떼면서 KAI와 경남 사천시 컨소시엄만 평가위 심사를 받았다.
평가위는 KAI가 시설·장비 보유, 해당 지자체의 사업용지 저리 임대 등 유리한 조건과 함께 군용기 정비, B737 항공기 개조 경험 등이 있어 민·군 항공기 정비업 경영에 필요한 역량을 갖췄다고 평가했다. 또 KAI가 사업지로 정한 경남 사천시는 인근에 항공우주산업단지가 있고 항공 관련 협력업체 60여곳이 입주해 있어 MRO 클러스터 형성에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KAI는 내년 3월 발기인 조합 설립 후 8월에 한국공항공사, 참여업체 등과 함께 MRO 전문기업을 신설한 뒤 10월 사업 준비를 모두 마칠 예정이다. 내년 11월 국토부의 정비조직 인증을 받아 12월부터 사업에 본격 착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설되는 기업에는 자본금 1300여억원을 포함해 앞으로 10년간 3500억원이 투자된다. KAI 직·간접 고용인원 5600여명에 관련 협력업체 고용인원 1만4000여명을 더해 10년간 2만여명의 고용효과가 예상된다.
김승환 기자 hw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