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S스토리] 젊은 리더에 조직 활력…조기은퇴 압박도 커진다

관련이슈 S 스토리

입력 : 2017-11-25 09:59:54 수정 : 2017-11-25 09:59:5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CJ그룹 입사 8년차 39세 상무 탄생
LG전자도 40대 상무·전무만 10명
대기업 연공서열 인사문화 깨져
CJ그룹이 24일 단행한 승진인사에서 1978년생 상무가 탄생했다. 주인공은 정윤규(39) CJ푸드빌 전략기획 담당 임원. 2005년 컨설턴트로 커리어를 시작한 정 상무는 2009년 CJ그룹에 입사한 지 8년 만에 월급쟁이의 꿈이자 기업의 ‘별’이라 부르는 대기업 임원 자리에 올랐다. 지난 16일 삼성디스플레이가 발표한 승진인사에서는 1976년생인 김용조(41) CAE(컴퓨터엔지니어링) 담당 임원이 상무가 됐다. 2004년 삼성디스플레이에 입사한 김 상무는 13년 만에 세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을 이끄는 기업의 임원이 됐다.

젊은 임원의 탄생에 회사 안팎은 술렁거렸다. 벤처회사에서는 흔한 일이지만 대기업에서 30대 후반, 40대 초반 임원이 나오는 것은 드물기 때문이다. 20∼30대 젊은 직원들은 “나도 열심히 해서 실력을 인정받으면 빨리 ‘별’을 달 수 있다”며 고무된 분위기다. 반면 이들 또래 일부 직원은 부러운 감정과 함께 ‘나는 그동안 뭘 했나, 앞으로 어쩌지?’ 하는 허무함과 불안감도 느꼈다고 털어놨다.

50대 사장, 30∼40대 임원의 탄생에 ‘성과 있는 곳에 보상 있다’는 격려와 환호가 쏟아지지만, 초고속 승진 열차에 올라타지 못한 직원들은 언제 짐을 싸야 할지 모르는 두려움과 박탈감을 토로한다. 1997∼98년 외환위기 당시 구조조정으로 이른 나이에 퇴직하는 직장인들을 가리키던 ‘사오정’(45세 정년), ‘오륙도’(56세까지 직장에 있으면 도적)가 20년이 지난 지금도 유효한 셈이다.

삼성전자가 최근 승진한 7명의 사장단 평균 연령은 55.9세다. 7명 중 6명이 1960년 이후 태어났다. 최연소 사장은 1963년 출생인 시스템LSI사업부장 강인엽(54) 사장이다. 부사장으로 승진한 27명의 평균 연령은 54.1세며, 상무로 승진한 118명의 평균 연령은 46.5세에 불과하다. 정혜순(42) 상무 등 1975년생 임원 5명도 포함돼 있다.
CJ그룹도 이날 인사를 통해 CJ제일제당 신임 대표이사에 신현재(56) 사장 등 50대 사장 5명을 전진배치했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젊은 경영진이 구성되면서 ‘40대 임원, 50대 사장’ 기조는 재계 전반으로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재계는 젊은 임원진 발탁이 기업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한다. 한 대기업 과장 이모씨(36)는 빠른 진급에서 희망을 봤다고 강조했다. 이씨는 “인사철이 되면 승진 연한이 된 선임들한테 소위 성과 나올 일을 몰아주거나 고과를 밀어어주다보니 섭섭하고 억울할 때가 있었다”며 “젊은 임원의 전진배치는 ‘나도 능력을 인정받으면 언제든 임원이 될 수 있다’는 동기 부여가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젊은 임원의 등장은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박우성 경희대 경영학과 교수는 “고령의 근로자는 육체적, 정신적 능력이 떨어지고 성과 달성 속도도 낮다”며 “신규 정보 취득과 같은 유동적 지능과 주의력 문제, 건강 악화 등으로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지난해부터 정년을 60세로 늦추는 ‘정년연장법’의 단계적 도입 등으로 기업 근로자의 평균 연령은 2007년 37.6세에서 지난해 41.5세까지 늘어났다. 기업이 젊어지면 회사의 인건비 지출 부담도 줄어든다.

노동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관리 및 사무, 기술직 근속 1년 미만 근로자의 임금을 100이라고 하면 근속연수 20년 이상 근로자의 임금 수준은 218.0에 달한다. 재계 관계자는 “젊은 경영진이 회사를 운영할 경우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 현장의 트렌드를 상대적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며 “조직이 젊어지면서 혁신성과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앞서가는 후배의 뒷모습을 바라봐야 하는 선배들은 달갑지 않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후배들이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것도 선배들이 어느 정도 길을 터놨기 때문”이라며 “선배들이 그동안 회사에 기여한 점은 무시하고 주관적인 지표로 성과를 책정해 단행한 승진인사는 결국 조직력을 깎아 먹게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대기업에 다니는 40대 초반 장모씨는 “남들은 벌써 임원을 다는데 나는 그동안 뭐 하며 살았나 하는 자괴감이 들었다”며 “초고속 승진 추세가 이어질 경우 나머지 직원들에게는 조기퇴직 압박으로 다가올 것 같아 불안하다”고 말했다. 진급에서 여러 차례 밀리면서 자신감과 의욕을 상실해 사실상 태업하는 직원들도 더러 있다. 국책은행 부행장을 지낸 A(56)씨에 따르면 그의 입행 동기인 B씨는 승진 시기를 놓치면서 업무 의욕을 상실했고 결국 후배들에게도 진급에서 밀렸다. B씨는 다른 지점으로 전근을 신청했지만 이미 후배들이 대부분 지점에서 가장 높은 자리를 차지한 상황이었다. A 전 부행장은 “B씨의 성과가 나쁘지 않았지만 한 번 진급에서 밀렸다는 이유로 계속 승진 대상에서 배제됐다”며 “성실했던 B씨는 결국 소극적인 자세로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고 말했다.

김동배 인천대 경영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연공서열의 직장문화가 뿌리 깊게 박혀있다”며 “임원은 계약직일뿐더러 후배가 먼저 진급하면 회사를 떠나야 한다고 여기는 문화 때문에 젊은 임원이 대거 등장하면 은퇴자가 대폭 늘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혼인과 출산은 늦어지고 기대수명은 길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남성과 여성의 초혼 연령은 2007년 각각 28.1세에서 지난해 32.8세와 30.1세로 늘어났다. 첫 자녀를 출산하는 나이도 2007년 29.4세에서 2016년 31.4세로 많아졌다.

여기에 기대수명은 2007년 79.2세에서 2015년 82.1세까지 높아졌다. 그러나 최근 통계청이 조사한 평균 퇴직연령은 49.1세다. 극단적인 예로 고등학교 1학년(17.7세)의 자녀를 둔 49세 직장인이 퇴직한 뒤 남은 31년을 위해 재취업이나 창업 전선에 뛰어들어야 하는 경우도 생기는 것이다.

김동욱 한국경영자총협회 본부장은 “젊은 경영자들의 등장은 기업 입장에서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근로자의 은퇴시기를 앞당기는 현상도 불러올 것”이라며 “이른 은퇴에 내몰린 이들을 위한 대책 마련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정필재 기자 rus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오마이걸 효정 '반가운 손 인사'
  • 오마이걸 효정 '반가운 손 인사'
  • 손예진 '따뜻한 엄마 미소'
  • 김유정 '사랑스러운 미소'
  • 이하늬 '여신의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