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수원에서 작은 식당을 운영하는 B씨는 아들 걱정이 태산이다. B씨의 아들은 대학 졸업 후 1년 넘게 취업을 못한 채 아르바이트를 하며 일자리를 찾고 있다. B씨는 “물려줄 재산이 있는 것도 아니고, 치킨집을 차려줄 여력도 없다”며 “아들은 부모 눈치를 보고, 부모는 부모대로 미안한 마음이 드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부모의 직업이 자녀의 직업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직업 대물림’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13일 한국노동연구원이 펴낸 ‘직업계층 이동성과 기회불균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아버지가 ‘1군 직업’(입법공무원, 고위공무원, 기업 임원 및 관리자, 전문가)에 종사할 경우 자녀도 1군 직업을 가질 확률은 32.3%로 나타났다. 반면 이들의 자녀가 판매종사자 등 ‘3군 직업’(서비스 종사자, 판매 종사자, 농업 및 어업 숙련종사자, 단순노무 종사자)을 가질 가능성은 13%로 낮았다. 어머니의 직업이 자녀의 직업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컸다. 어머니가 1군 직업일 때 자녀 역시 1군 직업일 확률은 45.5%로 가장 높았다.
이 같은 조사 결과는 ‘계층 사다리’가 하나둘 사라지고 있다는 일반의 인식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통계청의 2015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노력을 통해 본인세대에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21.8%로, 2013년보다 6.4%포인트 줄었다. 62.2%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했다. 자식세대의 계층이동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31%에 머물렀다. 이는 2013년보다는 8.9%포인트가 줄어든 수치다.
보고서는 “계층 대물림으로 나타나는 사회적 부작용을 해소하기 위한 지속적인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노동시장 진입단계에서도 취약계층에 대한 취업 및 임금 지원 정책을 통해 부서진 계층 사다리를 복원하고 소득불평등을 줄여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원잠 vs 핵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932.jpg
)
![[주춘렬 칼럼] 韓·美 관세협상의 그늘](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911.jpg
)
![[기자가만난세상] ‘인간 젠슨 황’의 매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885.jpg
)
![[박현모의 한국인 탈무드] 섬길 줄 알아야 신뢰를 얻는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17/128/20251117516838.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