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발생할지 모르는 사고를 대비하는 차원에서 우리 아이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올바른 사용법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우선 아이의 성장단계에 따라 체격에 맞는 카시트를 사용해야 하며, 헤드레스트(headrest)는 아이의 어깨선에 맞춘다. 안전벨트는 어른 손가락이 들어 갈 정도의 여유만 두고 조여준다. 마지막으로 장착이 제대로 됐는지 다시 한번 확인한다.
몸무게 중 머리가 차지하는 비율이 25% 가량 되는 신생아의 경우 전방이 아닌 후방(뒤보기) 장착을 해야한다. 사고 발생 시 신생아의 목과 척추 등에 무리가 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뒤보기 장착 시 아이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몸 전체로 분산시켜주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 2세 이하 아이인 경우 반드시 카시트를 차량 반대 방향으로 설치해 앉게끔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카시트 각도는 140~150도의 기울기로 맞춰주는 것이 좋다. 각도가 너무 곧으면 위급 상황 시 아이의 머리가 앞으로 꺾일 수 있고, 너무 누운 각도일 경우 사고 발생 시 아이가 카시트 위쪽으로 빠져 나올 수 있다.
특히 신생아를 안고 차에 타는 행위는 금물이다. 체구가 작고 카시트에 혼자 앉히는 게 걱정된다는 이유로 직접 안고 타는 엄마들이 있는데, 이는 아이를 ‘에어백(차량 충돌 때 충격으로부터 자동차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으로 삼는 것과 마찬가지다. 사고 시 아이가 충격을 모두 흡수하기 때문이다. 카시트에 태운 아이가 울더라도 바로 안아서 달래지 말고, 잠깐 정차 후 다시 출발하는 것이 좋다.
업계 한 관계자는 “유아용 카시트는 아이의 성장에 따라 알맞은 제품으로 교체해줘야 한다”며 “카시트가 아이 체격에 비해 너무 크거나 작으면 사고 시 아이를 제대로 보호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훌쩍 자라는 아이 체격에 맞춰 카시트를 재구입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도 만만치 않다”며 “이러한 경우 0~7세, 3~10세 등 사용 연령이 길고 체격에 맞게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제품을 참고해 볼만하다”고 덧붙였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