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가 343명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하루평균 사망자 수로 환산하면 0.94명에 해당하는 수치다. 연간 시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1970년 하루평균 1.46명에 해당하는 534명을 기록한 후 꾸준히 늘어나 ‘마이카 붐’이 절정을 기록한 1989년 1371명으로 최고점을 찍었다. 교통사고로만 하루에 3.76명이나 사망했다. 이후 범정부 차원에서 교통사고 사망자 줄이기에 힘을 쓰면서 2014년 400명, 2015년 376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한 후 지난해 드디어 하루평균 1명 이하로 사망자를 줄이는 데에 성공했다.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중에는 자동차가 사람을 친 ‘차 대 사람’ 유형 사고가 196명으로 나타나 전체의 57%를 차지했다. 이는 전국 평균인 38%(2015년 기준)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서울의 인구밀도가 전국 평균의 32배에 이르는 데다가, 경제활동이 밤늦은 시간까지 상대적으로 활발히 이뤄지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시는 설명했다.
도심지역 제한속도가 시속 50㎞인 대부분의 OECD 국가와는 달리 서울의 제한속도가 대부분 시속 60㎞ 이상인 것도 교통사고 시 보행자 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로 꼽혔다. 이밖에 무단횡단으로 인한 사망자도 117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35%나 차지해 관련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차종별로는 승용차에 의한 사망자가 30%로 가장 많았고, 이륜차 19%·택시 16%·화물차 15%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용도별로 보면 사업용 차량이 32%, 비사업용 차량이 68%로 조사됐다. 사업용 차량이 전체 등록차량의 6%에 불과한 점을 고려하면 이들 차량에 대한 안전관리가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인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노인 사망자가 150명으로 전체의 절반에 육박하는 45%를 기록했다. 노인 사망자 비율은 2005년 23%, 2010년 29%, 2015년 37% 등으로 점점 올라가고 있다.
시는 이 같은 통계를 토대로 올해도 맞춤형 교통사고 사망자 줄이기 정책을 펼칠 예정이다 ‘차 대 사람’ 사고를 줄이기 위해 주요 간선도로에 광폭형·대각선형 등 다양한 형태로 횡단보도 30개를 새로 설치한다. 횡단보도를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는 무단횡단 금지시설을 만든다. 제한속도 하향 지역도 적극적으로 늘려나간다. 시는 지난해에도 북촌·서울지방경찰청 인근 이면도로의 제한 속도를 시속 30㎞로 줄인 바 있다.
또한 노선버스나 택시 등 사업용 운수업체를 평가하거나 인센티브를 줄 때는 교통사고 관련 점수 비율을 높일 방침이다. 안전운전을 했는지 들여다볼 수 있는 디지털 운행기록계 운행 정보 업로드 실적도 평가에 반영한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2020년까지는 교통사고 사망자를 해외 주요 도시 수준인 인구 10만명당 2.0명, 하루평균 0.6명 수준까지 개선될 수 있도록 경찰청 등 관련기관과 함께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서필웅 기자 seose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