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30대 '중고신입', 20대 신입사원과 어떤 점이 다를까?

입력 : 2016-12-05 13:47:37 수정 : 2016-12-05 13:47:37

인쇄 메일 url 공유 - +

 

극심한 취업난으로 입사 문턱이 점점 높아지면서 구직자들의 취업 준비기간이 점점 길어지는 가운데, 첫 취업 연령도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다.

실제 신입 채용 시 30대는 얼마나 차지하고 있을까.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649개사를 대상으로 ‘30대 신입사원 증가 추이’를 살펴봤다.

올해 신입사원을 채용한 기업(498개사)의 84.9%가 신입 채용 시 30대 이상 연령대의 지원자가 있었다고 답했으며, 이들이 밝힌 전체 지원자 중 30대의 비율은 평균 42%에 달했다.

입사한 신입사원 중 30대의 비율은 평균 31%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는 ‘10%’(17.7%), ‘20%’(12.3%), ‘50%’(10.2%), ‘30%’(9.9%), ‘40%’(7.1%) 등이 있었고, ‘30대 합격자 없다’는 응답은 23.2%였다.

신입 채용 시 연령대가 높아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절반 이상인 61.5%가 ‘높아지고 있다’라고 밝혔다.

연령대 상승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양질의 일자리가 많지 않아서’(23.8%)를 첫 번째로 꼽았고, ‘지원자의 눈높이가 높아서’(23.3%)가 바로 뒤를 이었다. 이밖에 ‘휴학, 졸업유예가 보편화되어서’(16.3%), ‘고학력자가 늘어나서’(13%), ‘준비해야 할 스펙이 너무 많아서’(4.5%) 등의 답변이 있었다.

신입사원의 연령이 높아질 경우 조직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많은 35.6%가 ‘위계질서 혼란 유발’을 들었다. 계속해서 ‘신입사원 조기퇴사 및 이직 증가’(24.1%), ‘연공서열보다 능력중심 문화 확산’(11%) 등의 순으로 이어져, 대체로 부정적이었다.

그렇다면 30대 신입사원은 20대 신입사원과 비교해 차이가 있을까.

전체 기업의 절반 이상인 62.7%가 ‘차이가 있다’라고 답했다.

30대 신입사원이 20대 신입사원 보다 뛰어난 점으로는 ‘조직 적응력’(46.9%,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뒤이어 ‘업무 이해도’(38.1%), ‘근속의지 및 충성도’(38.1%), ‘연륜’(27.3%), ‘예의 바른 태도’(24.6%), ‘의사소통 역량’(22.4%), ‘팀워크 및 협동 능력’(17.9%), ‘침착함’(15%) 등이 있었다.

반대로 부족한 점으로는 ‘개방적 사고’(19.4%, 복수응답), ‘열정’(19.2%), ‘조직 적응력’(16.7%), ‘체력’(16.7%), ‘근속의지 및 충성도’(13.8%), ‘업무 이해도’(12.3%), ‘정보력’(11.1%) 등을 들었으며, ‘특별히 부족한 점 없다’는 응답은 29.5%였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