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이날 오후 1시20분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을 전용 웹사이트에서 전자책(e-Book) 형태로 공개한다고 27일 밝혔다. 중학교 역사 I, II 및 고등학교 한국사와 함께 47명의 집필진 명단, 국정교과서에서 어떤 부분이 달라졌는지 등에 대한 홍보물도 포함된다. 기존의 ‘올바른 역사교과서’ 홈페이지(www.moe.go.kr/history)가 아닌 별도의 웹사이트에 게재되며, 아직 주소는 공개되지 않았다.
공개 시점에 맞춰 이준식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과 관련한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다. 현장검토본에 대한 의견 수렴도 웹페이지상에서 곧바로 시작된다. 의견 게시를 위해서는 본인임을 인증할 수 있는 공인인증서와 본인명의 휴대전화 인증 등의 절차가 필요하다. 현장 의견 수렴을 위한 토론회도 12월 중 열린다. 교과서 집필진과 편찬심의위원들은 다음달 23일까지 수렴된 의견을 검토해 1월 중 최종본을 내놓을 계획이다.
![]() |
이준식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7일 국정화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 공개를 하루 앞두고 담화 내용을 최종 점검하기 위해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로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
이 부총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역사교과서가 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며 “우선 의견 수렴을 한 뒤 현장의 반응을 보고 의견 수렴이 끝나는 12월 23일쯤 적용 방법이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당초 계획대로 내년 신학기부터 일률적으로 현장적용을 하지 않고 시범학교를 선정해 적용한 뒤 전면 확대, 검인정 교과서와 혼용, 적용시기를 1년 이상 미루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총리는 국정교과서 철회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철회 가능성은 없다. 철회한다면 무슨 고민을 할 필요가 있겠냐”고 일축했다. 앞서 이 부총리는 지난 25일 국회 교육문화체육위원회에서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을 예정대로 28일 공개하고, 이후에 현장반응 보고 적용방법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해 사실상 국정화 철회 방침을 밝힌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하지만 이 부총리는 이 발언을 한 이튿날인 26일 김용승 청와대 교육문화수석과 회동한 뒤 국정화 철회는 아니라는 구체적 입장을 꺼내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김 수석과 이 부총리가 만나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 공개 후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해 계속 협의하자고 합의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여론수렴은 철회 여부를 묻는 것이 아니라, 교과서의 내용과 형식에 관한 것”이라며 “국정교과서 철회는 아니다. 국정화 기조는 예정대로 진행된다”고 강조했다.
이우승·이정우 기자 woo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