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교육부, 국정교과서 학교현장 적용 방식·시기 고심 거듭

입력 : 2016-11-27 18:34:21 수정 : 2016-11-27 18:34:21

인쇄 메일 url 공유 - +

청과 갈등 양상 보이던 이준식/교문수석 만난 뒤 철회설 일축/현장검토본 전자책 형태로 게시/전용 사이트에… 집필진 명단도 교육부가 28일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과 집필진 명단을 예정대로 공개한다. 일부 언론에서 보도한 ‘국정교과서 철회’와 관련해서는 ‘철회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혼란 정국 속에 국정교과서가 학교현장에 적용되는 방식이나 시기 등에 대해서는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교육부는 이날 오후 1시20분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을 전용 웹사이트에서 전자책(e-Book) 형태로 공개한다고 27일 밝혔다. 중학교 역사 I, II 및 고등학교 한국사와 함께 47명의 집필진 명단, 국정교과서에서 어떤 부분이 달라졌는지 등에 대한 홍보물도 포함된다. 기존의 ‘올바른 역사교과서’ 홈페이지(www.moe.go.kr/history)가 아닌 별도의 웹사이트에 게재되며, 아직 주소는 공개되지 않았다.

공개 시점에 맞춰 이준식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정부서울청사에서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과 관련한 대국민 담화를 발표한다. 현장검토본에 대한 의견 수렴도 웹페이지상에서 곧바로 시작된다. 의견 게시를 위해서는 본인임을 인증할 수 있는 공인인증서와 본인명의 휴대전화 인증 등의 절차가 필요하다. 현장 의견 수렴을 위한 토론회도 12월 중 열린다. 교과서 집필진과 편찬심의위원들은 다음달 23일까지 수렴된 의견을 검토해 1월 중 최종본을 내놓을 계획이다. 


이준식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7일 국정화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 공개를 하루 앞두고 담화 내용을 최종 점검하기 위해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로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하지만 ‘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본격적인 탄핵정국이 시작되는 가운데 박근혜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한 국정교과서가 ‘단일’ 교과서로의 현장 적용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 부총리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역사교과서가 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며 “우선 의견 수렴을 한 뒤 현장의 반응을 보고 의견 수렴이 끝나는 12월 23일쯤 적용 방법이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당초 계획대로 내년 신학기부터 일률적으로 현장적용을 하지 않고 시범학교를 선정해 적용한 뒤 전면 확대, 검인정 교과서와 혼용, 적용시기를 1년 이상 미루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총리는 국정교과서 철회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철회 가능성은 없다. 철회한다면 무슨 고민을 할 필요가 있겠냐”고 일축했다. 앞서 이 부총리는 지난 25일 국회 교육문화체육위원회에서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을 예정대로 28일 공개하고, 이후에 현장반응 보고 적용방법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해 사실상 국정화 철회 방침을 밝힌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하지만 이 부총리는 이 발언을 한 이튿날인 26일 김용승 청와대 교육문화수석과 회동한 뒤 국정화 철회는 아니라는 구체적 입장을 꺼내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김 수석과 이 부총리가 만나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 공개 후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해 계속 협의하자고 합의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여론수렴은 철회 여부를 묻는 것이 아니라, 교과서의 내용과 형식에 관한 것”이라며 “국정교과서 철회는 아니다. 국정화 기조는 예정대로 진행된다”고 강조했다.

이우승·이정우 기자 woo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