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블우주망원경 4년 후 다시 발사
옛 소련 화성 탐사선도 수많은 좌절 우주를 향한 인류의 탐사는 달에 사람을 보내고, 화성에 무인 탐사선을 보내는 등 뚜렷한 성과를 거뒀지만 그 과정에는 수많은 실패와 시행착오가 있었다.
1969년 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가 지름 3m 우주망원경에 대한 지원을 승인한 이후 본격 추진된 허블 우주망원경이 대표적인 사례다. 지구의 빛과 대기라는 장애물을 뛰어넘어 우주 공간에서 별을 관측하자는 결정 아래 추진된 이 망원경은 초기 예산 부족에 시달리다 유럽우주기구가 파트너로 합류하면서 발사 일정이 1986년으로 잡혔다. 하지만 1986년 챌린저 우주왕복선이 폭발하는 사고로 발사가 연기됐다. 핼리 혜성 관측 등을 임무로 한 이 프로젝트는 발사 73초 만에 폭발하면서 승무원 7명 전원이 사망하는 비극적인 결과로 이어졌다. 이후 존폐 위기에 처했던 허블은 우여곡절 끝에 1990년 4월24일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 호에 실려 발사됐다.
![]() |
다섯 번의 정비 끝에 정상 운영되고 있는 허블 우주망원경의 모습. |
화성 탐사의 경우 1960년 10월 옛 소련이 스푸트니크 22호를 인류 최초로 화성을 향해 발사했지만 지구 궤도에 들어서자마자 부서졌다. 1971년 소련 항공우주국이 ‘마르스-3’을 화성에 보내는 데 성공했지만 착륙 20초 만에 작동이 멈춰 화성 표면에 접촉했다는 데 만족해야만 했다. 소련은 화성 탐사와 관련해 1970년대 ‘마르스-2’, ‘마르스-6’, ‘마르스-7’ 탐사선 실패를 겪었고, 1996년 러시아 항공우주국의 ‘마르스-96’ 역시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 유럽우주기구도 2004년 ‘비글-2’를 화성에 보냈지만 착륙 전 연락이 두절됐고, 지난달 19일 착륙을 시도한 ‘엑소마스’의 경우 화성 궤도에는 안착했지만 착륙선 ‘스키아파렐리’와는 착륙 중 교신이 끊겨 실패의 아픔을 맛봤다.
이희경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