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주제작단체가 KBS 측이 내놓은 외주제작사와의 상생 방안에 불만을 표시했다.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 한국방송영상제작사협회(구 독립제작사협회), 한국독립PD협회는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인동 참여연대에서 KBS의 '몬스터 유니온' 설립과 관련해 긴급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KBS '몬스터 유니온'은 KBS와 KBS 미디어, KBS N이 공동출자해 해외 시장을 겨냥한 드라마와 예능 등 방송 콘텐츠의 기획, 제작을 목표로 하는 제작사다. 올 8월 출범을 목표로 한 가운데 외주제작사들은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KBS는 이날 '몬스터 유니온' 설립 반대 기자간담회와 관련해 "KBS는 글로벌 한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만들기 위해 제작사 '몬스터 유니온'을 설립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며 "'더불어 '몬스터 유니온' 설립을 계기로 기존 외주제작사와 공동기획, 공동제작을 통한 다양한 상생프로젝트도 기획하고 있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이와 관련해 코엔미디어 안인배 대표는 "제작사가 100% 제작비를 투자한 프로그램도 방송국에서 저작권을 주지 않는 경우도 있다"며 "자회사를 통한 공동제작은 제작사의 능력을 빌어서 프로그램을 제작하겠다는 의미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거대 자본이 들어간 '태양의 후예'는 KBS가 제작비를 다 들일 수 없어 제작사에 넘겨줬기 때문에 제작사가 해외투자를 유치할 수 있었다. 큰 제작비를 들여도 수익이 나는 구조를 경험했기 때문에 그런 사례를 또 만들고 싶은 것"이라고 말했다.
외주제작 단체는 제작사 설립이 해외 자본의 유입으로 인한 국내 방송산업의 잠식을 우려한 조치라는 KBS 측 입장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송규학 한국독립PD협회장은 "KBS가 주장하는 해외자본 잠식이 어떤 근거에서 나온 말인지 모르겠다"며 "해외 자본이 국내 제작사에 투자했다면 그 저작물을 통째로 가져가지 않는다. 해외 자본은 자국에서 방영권을 가지기 위함이지 전세계 방영권을 가지려는 목적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안인배 대표는 "공동기획을 통한 외주제작사와의 협업, 상생이 왜 몬스터 유니온을 통한 것이어야 하나. KBS와는 상생할 수 없는건가. 왜 그동안 상생하지 않았던 거냐"면서 "외주제작사가 권한이 없기 때문에 해외 투자 유치가 안된 것이다. 방송사에서 외주제작사에 권한을 주는 상생을 했다면 국내에도 많은 자본 유치가 됐을 것이고, 외주제작사도 좀더 경쟁력을 갖추게 됐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은나리 기자 jenr38@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