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 고위공무원의 취중 부적절 발언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나향욱 교육부 정책기획관(국장)은 지난 7일 저녁 종로의 한 음식점에서 모 종합지 기자들과 저녁식사 도중 "민중은 개·돼지로 취급하면 된다", "신분제를 공고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제의 발언이 나온 것은 나 기획관이 이 매체 정책사회부장 및 교육부 출입기자와 술을 곁들인 저녁을 하는 자리에서 나온 것으로 교육부에서는 대변인과 홍보담당관이 참석했다. 나 기획관은 역사교과서 국정화, 공무원 정책실명제에 대한 얘기를 나누던 중 기자들과 논쟁을 벌이는 와중에 이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책기획관은 국정과제를 비롯 교육부의 주요 정책을 기획·연구하고 다른 부처와의 정책 조율, 교육부 예산 등을 총괄하는 자리다. 나 정책기획관은 올해 3월 정책기획관(2급)으로 승진했다. 교육부는 나 정책기획관의 발언이 보도되며 파문이 커지자 지난 9일 사과와 함께 나 정책기획관을 대기 발령하고 경위 조사에 나섰다. 교육부는 사건의 파장을 고려해 신속하게 경위 조사를 마치고 징계의결요구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당시 저녁 자리에 나 기획관 외에 교육부의 홍보파트 직원들도 함께 있었던 만큼, 이들의 정황 설명도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5급 이상 공무원과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 공무원은 인사혁신처장이 징계의결권자로, 최종 징계 수위는 교육부의 징계의결요구에 따라 인사혁신처 중앙징계위원회가 결정한다. 나 정책기획관에 대해서는 국가공무원법상 품위유지 의무 위반 등으로 징계가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나 정책기획관 발언의 파장은 계속 확대되고 있다. 여야 정치권은 물론 교육계와 시민단체의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분노한 누리꾼들의 비판도 폭주하고 있다. 각종 인터넷 게시판은 물론, 교육부 페이스북 등에는 엄중한 징계를 요구하는 글이 쏟아지고 있다. 일부 누리꾼들은 허탈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A씨는 "열심히 세금 꼬박꼬박 내면서 살았던 내가 개·돼지인 것이냐"며 "취중 진담이라는 말이 있다. 평소의 생각이 아주 정확하게 표현된 것 같다. 이런 사람이 고위직 공무원이라니 안타깝다"고 말했다.
B씨는 "(저 사람은) 근본이 저런 것이다. 이런 사람을 고위 공직자로 뽑은 게 이 나라의 현실"이라며 "이것이 현 정권의 진심인 것 같아 무섭다. 마음이 너무 아프고 화가 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C씨는 "앞으로 소위 엘리트 출신은 공무원을 못하게 법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공무원은 국민을 위해 일하라고 세금으로 월급 받는 사람인데, 엘리트들이 퍽이나 개·돼지를 위하겠다"고 지적했다.
D씨는 "출세 공부 말고 인간이 되는 공부도 하면서 살자. 그걸 안하니 돼지처럼 자기만 아는 사람이 되어서 개만도 못한 인간이 된다"며 "대충 징계하고 넘어가면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 99%가 얼마나 무서운지 뼈저리게 느끼게 해줄 거다.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고 강조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