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은 내년부터 2019년까지 3년 동안 총 100억엔(약 1081억원)을 들여 모든 초·중·고교에 무선랜(LAN) 설치 비용의 50%를 지원하기로 했다. 재원은 이동통신회사 등이 국가에 내고 있는 전파이용료로 충당할 방침이다. 현재 무선랜을 이용할 수 있는 일본 내 초·중·고교 교실은 24% 수준이며, 이 학교들 중에서도 기존 회선이 대규모 통신에 적합하지 않으면 회선의 대용량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 |
한국 초등학생들이 태블릿PC로 수업하고 있다. 자료사진 |
전자칠판 등 교원용 디지털 교재는 이미 보급되기 시작했다. 학생용 디지털 교과서와 연계하면, 쌍방향의 정보 교환이 이뤄진다. 교사 입장에서는 학생들이 문제에 회답했는지 여부를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어 어떤 학생이 어디까지 이해하고 있는지, 어디에서 막혀있는지를 알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일본 정부가 모든 학교에 무선 인터넷망을 구축하려는 또 하나의 목적은 재해대책이다. 재해시 피난자들에게 개방해 인터넷이나 이메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 휴대전화 기지국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나 이메일 등을 통해 안부를 확인하거나 지원물자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발생한 구마모토 지진 때 휴대전화 회사의 기지국 수백곳이 문제를 일으켜 한때 주변 지역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없었다.
도쿄=우상규 특파원 skw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