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소속 출마를 선택한 비박(비박근혜)계가 유 의원의 무소속 출마 소식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연대’를 통해 기호 1번을 포기한 핸디캡을 어느 정도 극복할 것이라는 기대가 깔렸다. 경기 성남분당을에 무소속으로 출마한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파벌정치는 한국정치에서 종식되어야 한다”며 “그런 목소리를 모으는 것은 많을수록 좋지 않겠나”고 말했다.
유 의원은 아직 탈당 여부나 무소속 연대에 대한 어떤 입장 표명도 내놓지 않고 있다. 당 관계자는 “무소속 연대 여부는 유 의원에게 또 다른 정치적 부담이 될 수 있다”며 “비박계 연대가 사실상 박근혜정부와 또 다른 대립으로 비쳐질 수 있다”고 말했다.
무소속 연대가 찻잔 속 태풍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18대 총선에서 친박연대가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박근혜 의원이라는 지주가 있었다”며 “비박연대라는 것 자체에도 이미 ‘박근혜‘라는 이름이 들어간다. 결국 누구를 반대하는 사람의 모임으로 연대에 중심이 없다는 걸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친박(친박근혜)계는 후보자 등록(24, 25일)과 동시에 본격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되면 당 지지층이 결집해 여야의 대결구도로 관심이 쏠릴 것으로 전망했다.
김달중 기자 da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