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힐러리 전 국무부 부하직원 "장관 이메일 해킹 없었다"

입력 : 2016-03-04 15:22:46 수정 : 2016-03-04 15:22:45

인쇄 메일 url 공유 - +

NYT "해킹여부 수사와 무관하지만 여론에는 도움될 듯"
미국 민주당의 유력한 대선 경선 후보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장관 재직 시절 공무용 이메일을 저장한 개인서버가 해킹된 흔적이 없다는 수사 결과가 나왔다고 일간 뉴욕타임스(NYT) 등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미국 연방수사국(FBI) 관계자들은 문제의 개인서버를 설치한 국무부 전 직원 브라이언 파글리아노로부터 제출받은 보안 로그를 조사한 결과 해커가 침투한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클린턴 전 장관은 2009년 1월부터 2013년 2월까지 국무장관으로 재직하면서 관용이 아닌 자기 개인서버 이메일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나 곤욕을 치르고 있다.

국가 안보를 위협했다는 지적을 받았고, 기밀이 포함되지 않았다고 거짓말한 논란 때문에 유권자들로부터 정직성이 의심스럽다는 비판도 추가로 받았다.

파글리아노는 작년 가을부터 FBI의 수사에 협조해 뉴욕주 차파콰에 있는 클린턴 전 장관의 자택에 서버를 설치한 경위를 설명하고 보안 로그도 제출했다.

매우 섬세한 해킹이 보안 로그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대체로 보안 로그에 해킹 흔적이 없으면 해킹을 당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된다.

NYT는 공무에 개인 이메일 서버를 사용했다는 사실이 범죄 정황인 까닭에 해킹 여부는 FBI의 사법처리 절차와는 별개의 사안이라고 전했다.

연방 법률은 기밀을 안전한 정부 경로에서 삭제하거나 중과실로 삭제되도록 방치하는 행위를 범죄로 규정하고 있다.

NYT는 해킹을 당하지 않았다는 사실 때문에 지지자들이 이메일 파문을 심각하지 않은 실수로 여길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국무부는 클린턴 전 장관으로부터 서버를 제출받아 공무에 쓰인 이메일 3만68건을 지난달 말까지 순차적으로 모두 공개했다.

일부 기밀이 담긴 이메일은 공개 대상에서 제외됐다.

전체 이메일 가운데 1급 비밀(top secret)은 22건, 2급 비밀(secret)은 65건, 3급 비밀(confidential)은 2천28건으로 집계됐다.

수석 보좌관들과 주고받은 이메일에서 주로 나타난 이들 기밀은 당시에는 기밀이 아니었으나 나중에 기밀로 지정됐다.

이변이 없다면 FBI의 수사는 오는 5월 초까지 마무리되고 법무부가 형사 사건으로 입건할 지, 피의자를 누구로 지정할 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번 사건에서는 파글리아노가 자신의 진술이 스스로에게 불리하게 적용되지 않을 면책권을 보장받고 FBI 수사에 협조하고 있다는 사실이 별도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간 파글리아노는 의회 청문회나 수사기관 조사에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법무부가 파글리아노에게 면책권을 줬다는 점은 이메일 수사가 마무리돼가고 있다는 점을 뜻한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파글리아노가 수사기관에서 입을 연다고 해서 그게 바로 클린턴 전 장관에 대한 사법처리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라고 전문가들은 꼬집었다.

파글리아노의 변호인은 "파글리아노가 완전히 면책되는 게 아니라 제한적으로 면책을 받으면서 신문에 선택적으로 답변하고 있다"며 "미국 시민이라면 누구나 행사할 수 있는 권리"라고 말했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