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농촌·산골·낙도 찾아 글 가르쳐 드려요”

입력 : 2016-03-02 19:17:02 수정 : 2016-03-02 19:17:02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성인 264만명 읽고 쓰기 불가능…정부, 문해교육 활성화 계획 발표 한글을 제대로 배우지 못한 노인, 새터민, 다문화가정 및 외국인 노동자 등을 위한 성인 문해교육이 확대된다.

교육부는 문해교육방송 제작, 찾아가는 문해교실 운영, 문해교육센터 설치 등의 내용을 담은 ‘2016년 성인 문해교육 활성화 계획’을 2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2006년부터 문해교육사업을 통해 약 22만5000명에게 교육을 지원해 왔다. 그러나 읽고, 쓰고, 셈하기 등이 불가능한 18세 이상 성인 인구는 약 264만명, 전체 인구의 6.4% 정도로 추정되고 있어 아직 모든 수요를 충족시키기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문해교육 대상자 대부분이 농어촌에 편중돼 있어 교육지원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교육부는 이를 위해 국가평생교육진흥원, EBS와 함께 집에서도 쉽게 글을 배울 수 있도록 성인 문해교육방송 ‘공부하기 좋은 날’을 제작해 지난달 29일부터 방송을 시작했다. 매주 월, 화, 수요일 오전 11시부터 30분간 EBS2 채널에서 방영된다.

또 섬마을, 산간지역 등에는 ‘문해학습버스’를 운영해 경로당이나 마을회관, 버스 등을 활용해 버스에서 직접 글을 배울 수 있다. 또 대학생이 가정을 방문해 지도하는 ‘찾아가는 문해교실’도 운영한다.

이밖에 전국 읍·면·동에 설치된 행복학습센터에도 문해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도록 권장하고, 5만여명의 문해교육 대상자에게 교과서를 무료로 지원하는 사업도 진행할 계획이다.

이정우 기자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일리 '반가운 손인사'
  • 박보영 '순백의 여신'
  • 나연 '사랑스러운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