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는귀가 먹었습니다."
요즘들어 부쩍 젊은 사람도 소리를 잘 들을 수 없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도시와 미디어의 소음때문에 일찍 청력이 떨어지는 탓이다.
피부의 노화는 보톡스와 성형수술, 화장으로 숨길 수 있지만 청력 감퇴는 속일 수가 없다. 신체의 노화를 측정하는 여러가지 방법 중 청력진단이 중요한 이유다.
24세를 넘어가면 이른바 '모기소리'라 불리는 1만7000헤르츠 이상의 소리는 들을 수 없게된다.
이는 노인성 난청이라 불리는 청력감퇴의 시작이다. 청력감퇴는 20세 이후 전연령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
40세가 되면 1만5000헤르츠 이상의 소리를 들을 수 없고, 50세를 넘어서면 1만2000헤르츠 이상의 소리를 듣지 못한다. 당신의 청력이 나이에 맞게 유지되고 있는 지 아래 동영상을 통해 테스트 해보자.
이재호 기자 futurnalist@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난각 번호 논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0.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73.jpg
)
![[세계와우리] 원잠을 보유할 준비는 됐는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6.jpg
)
![[기후의 미래] 빌 게이츠에 실망한 진짜 이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6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