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사원은 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지상전력 증강사업 추진 실태 감사 결과를 공개했다. 감사원은 지난해 6, 7월 국방부와 방위사업청, 육군본부 등을 대상으로 조사한 끝에 23건의 문제점을 담은 감사 결과를 해당기관에 통보했다.
감사원에 따르면 육군본부는 2007년 ‘일체형 수통’을 개발했는데도 방독면 47만4000여개를 조달받으며 이와 별도로 수통마개뭉치도 조달받았다. 이 바람에 14억2000여만원의 예산을 낭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방기술품질원은 2010년 방위사업청으로부터 이동정비 차량 밑에 부착하는 전원발생장치를 차량 엔진 공간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룸 장착형’ 전원발생장치의 시험평가를 의뢰받았는데, 기존 소비전력 외 충전기 소비전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방위사업청에 성능기준에 부합한다고 통보했다. 결국 방위사업청이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조달한 430대의 엔진룸 장착형 전원발생장치 중 35.3%에 달하는 152대에서 충전 불량 등의 이유로 차량 시동이 꺼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했다. 이 장치의 납품은 수의계약 대상이 아님에도 업체의 요청에 따라 13억원 상당의 수의계약이 체결됐다.
감사원은 이 밖에 헬멧이나 개인화기에 부착하는 단안형 야간투시경의 재질에 문제가 있어 파손이 자주 발생해 군이 방위사업청에 재질 개선을 요청했지만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도형 기자 scop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