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산업통상자원부, 관세청, 한국무역협회 등에 따르면 국산 화장품은 전 세계 취향에 맞는 상품 개발로 틈새 시장 개척 가능성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화장품 수출액은 2009년 4억6000만달러에 불과하던 것이 2014년 19억1000만달러, 2015년(1∼10월) 23억4000만달러로 급증했다. 화장품 무역수지 역시 2009년 5억8000만달러 적자에서 2015년 9억3000만달러 흑자로 급신장했다. 화장품업계의 선전은 무역의 날 행사장에서도 확인됐다. 지난 7일 열린 무역의 날 기념식 수상자 가운데 화장품 관련사는 72개에 달했다. 2014년 29개에 비해 2배 이상 급증한 것이다.
K-뷰티, K-푸드, K-패션, 한류 문화콘텐츠 등의 수출 증가는 무역의 질 제고와도 관련된다. 기술 개발을 통한 제품 차별화와 한류 활용 마케팅 등이 수출량 증가와 더불어 한국 제품을 세계인의 취향을 선도하는 상품 반열에 올려놓을 수 있다는 얘기다. 우리와의 자유무역협정(FTA) 발효가 줄줄이 대기 중인 것도 긍정적이다. 지난 20일 한·중, 한·뉴질랜드, 한·베트남 FTA가 발효됐고, 한·콜롬비아 FTA도 콜롬비아 측 비준동의 최종절차인 헌법재판소 판결만 남겨뒀다.
나기천 기자 n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핵추진잠수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44.jpg
)
![[기자가만난세상] 한 줄의 문장을 위해 오늘도 뛴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04.jpg
)
![[세계와우리] 멀어진 러·우 종전, 북핵 변수 될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31.jpg
)
![[삶과문화] 공연장에서 만난 안내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767.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