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진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6일 ‘우리은행의 성공적 민영화를 위해 분납 방식의 국민주 매각도 고려할 필요’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와 매각소위가 조기 민영화에 방점을 둔다면 유효수요 확대가 가능한 매각구조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금융당국과 공자위는 우리은행 민영화를 다섯 번째 추진하면서 지분 30% 이상을 묶어 파는 경영권 매각과 지분을 여러 곳에 분산매각하는 과점(寡占)주주 방식 위주로 검토해왔다. 국민주는 정부나 정부투자기관이 보유한 주식을 국민 다수에게 매각하는 방식이다.
김수미 기자 leolo@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난각 번호 논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0.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73.jpg
)
![[세계와우리] 원잠을 보유할 준비는 됐는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6.jpg
)
![[기후의 미래] 빌 게이츠에 실망한 진짜 이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6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