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면자생한의원 최성훈 대표원장. |
직장인 서형진(32)씨는 연일 야근이 계속되면서 어깨에 담이 걸려 최근 병원을 찾았다. 서 씨의 병명은 근막통증증후군. 흔히 타이피스트의 병이라고 불린다. 어깨를 둥글게 한 자세로 오랫동안 책을 읽는 자세를 취하거나 장시간 컴퓨터 사용으로 인한 만성긴장이 그 원인이었다.
직장인들은 서씨처럼 책상에 오래 앉아 있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등이 굽어지면서 담이 결린 듯 등이 뻐근해지는 경험을 해보았을 것이다. 또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때 등 근육을 강화시킨다고 무리하다가 등 쪽이 뻐근해지는 경우도 있다.
이때 영향 받는 근육은 등 쪽에 위치한 마름모꼴의 능형근이라는 근육이다. 능형근은 어깻죽지에서 등 쪽으로 이어지는 근육으로 척추와 날개뼈를 이어주고 있다. 능형근에 이상이 생기면 담 결리는 느낌, 혹은 등 한가운데나 견갑골의 안쪽에 통증이 발생하게 되고, 휴식을 취할 때도 통증이 계속 된다.
능형근에 이상이 생기면 열중쉬어 자세를 취했을 때 날개죽지 통증이 심해지고, 가끔 견갑골에서 소리가 나는 경우도 있다. 통증은 있지만 목이나 어깨를 움직이는 데는 이상 없어 다른 질환들과 구별이 가능하다.
근막통증증후군은 활동성 근막 유발점이 심하지 않는 경우 가벼운 마사지나 온열치료 등과 함께 휴식을 취하면 호전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근육이 아프다는 이유로 잘못된 자세를 취하기 쉽다. 만약 잘못된 자세를 습관적으로 취하게 된다면 척추에 불균형한 하중이 전달된다. 일시적인 등 통증은 해소되겠지만 방치하면 만성으로 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등이 결린다면 병원에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자생한방병원에서는 봉침과 약침을 통해 등에 뭉친 기혈을 원활히 순환시켜 준다. 벌에서 추출한 봉독을 인체에 무해하게 정제한 봉침치료는 통증 유전자를 억제해 통증을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봉독은 통증의 원인인 염증을 유발하는 효소를 억제해 염증 발생을 감소시킨다. 실제로 자생척추관절연구소(JSR)는 지난 2005년 경희대학교 한의대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통증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추나요법은 관절의 가동 범위를 넓혀 굳은 등을 회복시키고 바른 체형을 유지해준다.
만약 능형근에 급작스러운 통증이 느껴진다면 손을 깍지 낀 상태에서 양팔을 앞으로 쭉 뻗고, 고개를 숙여 등을 둥글게 말아 시선을 배꼽 쪽으로 향하게 만든다. 등을 뒤로 당긴 상태에서 15초간 유지해 같은 동작을 2회 반복한다. 이 동작을 반복하면 뭉쳐 있는 등 근육을 이완시키는 것은 물론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일상생활 중 지압할 수 있는 혈자리로는 폐수혈, 심수혈이 있다. 폐수혈은 3번째 흉추극돌기 양쪽 1.5마디, 심수혈은 5번째 흉추극돌기 양쪽 1.5마디에 위치해 있다. 위의 두 혈자리는 한의학적으로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이라는 경락에 위치해 있어 이 부위를 지압하면 경락 기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능형근이 지나가는 부위여서 능형근의 이완도 동시에 시킬 수 있다.
서면자생한의원 최성훈 대표원장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