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와 서울시설공단은 지난해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에 의뢰해 청계천 어류 변화상을 조사한 결과 몰개, 버들매치 등 4과 20종의 어류가 발견됐다고 29일 밝혔다. 복원 전인 2003년 조사에서 붕어와 미꾸리 등 3과 4종만 나온 데에 비해 5배 이상 늘어난 결과다. 서울시는 일반적으로 도심 소하천에서 관찰되는 어류가 5∼6종뿐이라고 설명했다.
청계천 어종 증가는 유량 감소 덕분으로 지난해 유량이 줄어든 이후 모래무지 등 하천 바닥 같이 낮은 곳에서 사는 어류가 늘었다. 청계천 복원 초기에는 유속이 빠르고 유량이 많다 보니 피라미와 버들치 등 물 위에서 헤엄치는 유영성 어류와 잉어나 붕어 등 대형 어종이 대부분이었다.
서울시는 초기에는 외래종과 관상어가 많았지만 지금은 참갈겨니 등 토종 담수어가 안정적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서필웅 기자 seoseo@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난각 번호 논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0.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73.jpg
)
![[세계와우리] 원잠을 보유할 준비는 됐는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6.jpg
)
![[기후의 미래] 빌 게이츠에 실망한 진짜 이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6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