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남북협상서 유리한 고지 차지하려는 속셈 분석도
![]() |
`역사교과서 국정화` 비난하는 북한 언론매체들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로 논란이 일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이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과 대남선전용 매체인 `우리민족끼리` 등 언론매체를 통해 이 문제를 고리로 연일 우리 정부에 대한 비난공세를 펼치고 있다. |
북한의 관영 및 대남선전용 매체는 지난 4일부터 28일까지 모두 50여 차례에 걸쳐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추진하는 남측 정부를 원색적으로 비난하면서 반(反)정부 투쟁을 선동했다.
여기에는 국론통합이 쉽지 않은 사안에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남한 사회의 갈등을 극대화하려는 속셈이 깔렸다는 게 대북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한 대북 소식통은 "북한은 남남갈등이 초래되는 계기 때마다 개입하지 않았느냐"고 지적했다.
과거에도 북한은 천안함 피격 사건과 연평도 포격 사건 등 굵직한 대남무력 도발을 감행할 때마다 남측에 책임을 떠넘기며 남한사회 내부의 갈등을 부추겼다.
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 이후 22일 만인 4월 17일 북측은 천안함의 침몰이 자신들과 무관하고 북한이 관련됐다는 주장이 '날조'라는 입장을 밝히면서 남한 사회의 갈등을 더욱 키웠다.
북한의 발표가 나온 시점은 천안함 침몰 원인 규명이 지연되면서 인터넷 등에서 정부의 '북풍작전'에 의한 자작극이라는 주장부터 미군 오폭설까지 갖가지 음모론이 난무할 때였다.
당시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한 북한의 사이버 심리전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었다.
실제 2010년 5월 말 북한 노동당의 대남기구인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중앙위원회 명의로 '천안함 사태의 조사 결과가 날조됐다'는 주장이 담긴 괴서한이 국내 종교·사회단체와 대북교역업체에 무더기로 발송돼 경찰이 조사에 나서기도 했다.
같은 해 11월 23일 연평도 포격 사건에서도 북한은 우리 측이 먼저 군사적 도발을 해 대응조치를 했을 뿐이라고 주장했고 이 때도 '남한이 일부러 북한을 공격한 것이다', '강대국의 시나리오에 휘말리고 있다' 등의 유언비어가 등장했다.
북한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이나 제주해군기지 건설, 주한미군 '사드' 배치 논란 등 남남갈등이 초래된 다른 사안에 대해서도 거의 예외없이 남한 정부를 비난해왔다.
일각에서는 김정은 정권이 대남전술 측면에서 과거와 달리 선전선동보다는 심리전에 비중을 두면서 남한 사회의 내부 갈등 유발에 더욱 주력한다는 평가도 내놓는다.
실제로 역사 교과서 국정화 논란과 관련한 북한 매체들의 비난의 글들이 우리나라의 SNS에서도 심심치 않게 올라오고 있다.
한 대북 전문가는 "과거 북한이 김씨 일가 및 주체사상 선전과 반미 의식 고취 등을 통한 대중의 의식화에 중점을 뒀다면 김정은 시대에 들어와서는 남남갈등을 극대화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북한이 남남갈등 확대에 매달리는 이면에는 남측 정부를 최대한 궁지로 몰아 앞으로 남북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위한 전략이 숨어 있다는 시각도 있다.
조영기 고려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남한의 선거나 정치쟁점에 뛰어든 것이 한두 번이 아니다"며 "앞으로 남북협상 등에서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