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우울증 등 정신 질환 유발 '탈모'...30대 남성 환자 많아

입력 : 2015-10-13 10:53:09 수정 : 2015-10-13 10:53:09

인쇄 메일 url 공유 - +

탈모, 자신감 잃고 심리적 불안 겪을 수 있어 '초기'에 치료해야

 


안모(31)씨는 지난 추석 때 본가에 가지 않았다. 최근 부쩍 넓어진 탈모 때문에 자신감이 위축되어 취업도 연애도 힘든데 '취업은 언제 할거니?', '결혼은 언제 할거니?' 등 친척들의 잔소리가 듣기 힘들기 때문이다.

꿈을 위해 다양한 인턴 경험과 스펙 등을 쌓았지만 번번히 면접에서 떨어지고 연애도 실패하면서 모든 이유가 '탈모' 때문인 것 같아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렇듯 취업과 결혼 등을 준비하고 있는 20~30대는 다른 연령층 보다 외모에 더욱 신경을 쓰게 된다. 최근에는 스펙 쌓기 등으로 인해 취업이 늦어져 30대에 신입사원이 되고 결혼 또한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3년 자료에 따르면 30대 남성이 '탈모증'으로 가장 많이 병원을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남성이 '탈모증' 진료인원 중 15.1%로 가장 높았다.

이처럼 젊은 탈모환자들이 많은 가운데 외적인 평가로 인해 자신감을 잃고, 이는 자기 비하로 이어져 전반적인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 탈모, 우울증과 정서 장애 등 정신 질환 유발시킬 수 있어

많은 탈모 환자들이 탈모증 진단을 받기 전에 병적 인격 장애를 가지게 된다고 한다. 이는 탈모가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개인의 전반적인 일생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탈모 환자들은 사회에서 만들어진 탈모의 부정적인 이미지가 자신에게 불이익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취업이나 결혼 등 사회성이 필요한 곳에서 탈모 환자들은 자신감을 잃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이 심각해 질 경우 우울증, 심리적 불안, 정서 장애를 유발 할 수 있다. 따라서 탈모는 주의할 필요가 있는 질환이다.

모발이식 전문 김주용 원장(참닥터 모발케어&이식병원)은 "젊은 세대가 취업이나 학업과 같은 사회적 스트레스가 많다 보니 이시기에 탈모를 겪게 되면 다른 연령대보다 자신감을 더 쉽게 잃는다"며 "최대한 빠르게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고 원인에 따른 처방을 받는다면 충분히 탈모를 극복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이 빠른 탈모 치료를 위해 잘못된 방법을 선택, 뒤늦게 전문의를 찾아오는 경우가 많다. 김 원장은 "병원을 찾는 환자들 대부분이 빠른 탈모 치료 효과를 원하다 보니 속설에 의한 치료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남성형 탈모는 한번 발생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악화되는 진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치료시기를 놓칠 수 있어, 이미 탈모가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라면 탈모 증상의 악화를 막고 발모를 촉진하는 전문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 남성형 탈모 치료 약물·모발이식술 가능

여러 종류의 탈모증 중 남성형 탈모증은 먹는 의약품과 모발이식술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치료제로 허가한 약물은 복용하는 두타스테리드(dutasteride)와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 바르는 약제인 미녹시딜(minoxidil)이 있다. 두타스테리드와 피나스테리드는 탈모의 원인이 되는 5알파환원효소를 차단하고 테스토스테론이 DHT로 변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탈모를 치료한다.

특히 두타스테리드(0.5mg)는 24주간 피나스테리드(1mg), 위약과의 효과 및 안전성을 비교한 다국적 임상시험결과에서 남성형 탈모를 개선하는데 빠르고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두타스테리드(0.5mg)는 12주부터 피나스테리드(1mg)보다 모발수가 더 많이 증가했고, 24주째에는 모발수 증가, 굵기 개선에서 효과를 보였다.

약물치료로 효과를 보지 못한 경우에는 모발이식술을 받는 것도 방법이다. 모발이식술이란 머리의 양 옆과 뒤쪽에 자라는 모발은 누구나 영구히 자라 이 부위의 모발을 대머리 부위에 재배치하는 시술이다. 하지만 이식된 모발이 자라서 이 전과 같은 효과를 보려면 시술 후 최소 12개월~18개월이 지나야 한다.

젊은 환자들의 경우에는 나중에 더 탈모가 진행될 부위까지 예측하여 모발이식을 해야 하는데, 잘못할 경우에는 M자 부위나 정수리에만 모발이 남아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젊은 사람은 모발이식을 한 뒤에도 기존의 모발 유지를 위해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헬스팀 김봉수 기자 cshoo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