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모기 후각기관, 사람의 혈관 단번에 찾는 모기의 신비 밝혀

입력 : 2015-09-24 09:26:36 수정 : 2015-09-24 09:26:36

인쇄 메일 url 공유 - +

모기 후각기관, 사람의 혈관 단번에 찾는 모기의 신비 밝혀
모기 후각기관, 사람의 혈관 단번에 찾는 모기의 신비 밝혀

모기가 피 냄새를 찾아 혈관에 정확히 침을 꽂는 비결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내 눈길을 끌고 있다. 

숙련된 간호사도 밝은 빛 아래서야 찾을 수 있는 혈관을 단번에 찾아내는 모기의 신비가 한 꺼풀 벗겨진 셈이다.

안용준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교수와 권형욱 서울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연구교수팀은 모기 주둥이에 달린 뾰족한 침에 피 냄새를 맡는 후각기관과 후각수용체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23일 밝혔다.

지금까지 모기가 멀리서 피 냄새를 찾아가는 원리는 잘 알려져 있었다. 사람이나 동물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나 ‘옥테놀’과 같은 휘발성 물질 냄새를 따라온다는 것이다. 가까이 다가와서는 땀 냄새나 젖산 성분에 유인된다. 

하지만 모기가 피부 위에 내려앉아서 혈관을 찾아내는 원리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다. 

연구진은 모기가 혈관에 내리꽂는 침 기관의 끝부분에 냄새를 맡는 감각모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그 속에서 동물 피가 내는 휘발성 냄새 성분에 강하게 반응하는 후각수용체 2개를 발견했다. 

모기에 이들 수용체가 나오지 않도록 처리하자 피부에 앉아서도 혈관을 잘 찾지 못하고 피를 다 빠는 데도 3∼15분이나 걸렸다. 일반 모기가 피를 배불리 빠는 시간은 30초면 충분하다. 

권 교수는 “두 수용체 가운데 하나라도 없으면 모기가 혈관을 잘 찾지 못하고 흡혈 시간도 길어진다”며 “수용체를 저해하는 물질을 찾는다면 뇌염, 말라리아 등의 원인이 되는 모기를 퇴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팀 박현주 기자 phj@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