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軍 통역병, 절반 이상은 영어 한 마디도 쓰지 않아

입력 : 2015-09-10 09:53:11 수정 : 2015-09-10 10:11:27

인쇄 메일 url 공유 - +

영어 특기자로 선발된 어학병 중 다수가 복무 중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방위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김광진 의원이 10일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군 어학병 200명 중 실제 어학 관련 보직을 가진 인원은 38명으로 19%에 불과했다. 육군 역시 전체 어학병 718명 중 어학 관련 보직을 가진 인원은 332명(46%)으로 절반이 채 되지 않았다.

어학병들이 가지고 있는 보직은 공군의 경우 행정병이 48명(24%)으로 가장 많았다. 육군 어학병도 행정병 보직 인원이 194명으로 어학병을 제외한 모든 보직을 합한 인원보다 많았다. 사진병, 운전병, 탄약정비병 등 어학과 전혀 상관이 없는 보직도 수행하고 있었다.

기술행정병, 어학병, 속기병 등 특기병은 병사들이 복무기간 중 본인의 전공과 특기를 살릴 수 있다는 점에서 인기가 높다. 육군과 공군에서 뽑고 있는 어학병은 토익이 900점이 넘어야 지원 가능하며 이후에도 별도의 통역 및 번역시험과 영어면접을 거쳐야 최종적으로 선발된다.

김광진 의원은 “높은 경쟁률과 어려운 시험을 통과하여 어학병에 선발된 인원들이 복무기간 중 어학능력을 활용하지 못한다면 굳이 어학병 선발절차를 둘 이유가 없을 뿐만 아니라 특기병제도가 유명무실해진다. 군은 우수한 어학자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오피니언

포토

[포토] 윈터 '깜찍하게'
  • [포토] 윈터 '깜찍하게'
  • 정채연 '깜찍한 볼하트'
  • 김유정 '친애하는 X'
  • 아이브 레이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