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특기자로 선발된 어학병 중 다수가 복무 중 영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방위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김광진 의원이 10일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군 어학병 200명 중 실제 어학 관련 보직을 가진 인원은 38명으로 19%에 불과했다. 육군 역시 전체 어학병 718명 중 어학 관련 보직을 가진 인원은 332명(46%)으로 절반이 채 되지 않았다.
어학병들이 가지고 있는 보직은 공군의 경우 행정병이 48명(24%)으로 가장 많았다. 육군 어학병도 행정병 보직 인원이 194명으로 어학병을 제외한 모든 보직을 합한 인원보다 많았다. 사진병, 운전병, 탄약정비병 등 어학과 전혀 상관이 없는 보직도 수행하고 있었다.
기술행정병, 어학병, 속기병 등 특기병은 병사들이 복무기간 중 본인의 전공과 특기를 살릴 수 있다는 점에서 인기가 높다. 육군과 공군에서 뽑고 있는 어학병은 토익이 900점이 넘어야 지원 가능하며 이후에도 별도의 통역 및 번역시험과 영어면접을 거쳐야 최종적으로 선발된다.
김광진 의원은 “높은 경쟁률과 어려운 시험을 통과하여 어학병에 선발된 인원들이 복무기간 중 어학능력을 활용하지 못한다면 굳이 어학병 선발절차를 둘 이유가 없을 뿐만 아니라 특기병제도가 유명무실해진다. 군은 우수한 어학자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핵추진잠수함](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44.jpg
)
![[기자가만난세상] 한 줄의 문장을 위해 오늘도 뛴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04.jpg
)
![[세계와우리] 멀어진 러·우 종전, 북핵 변수 될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831.jpg
)
![[삶과문화] 공연장에서 만난 안내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0/128/20251030521767.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