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억세게 관운이 좋았던 역대 법무장관들. 윗줄 왼쪽부터 황교안 국무총리 후보자, 김성호 전 국정원장, 김승규 전 국정원장, 박희태 전 국회의장. 두번째 줄 왼쪽부터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 이종남 전 감사원장, 정해창 전 청와대 비서실장, 배명인 전 안기부장, 세번째 줄 왼쪽부터 신직수 전 중앙정보부장, 민복기 전 대법원장, 조용순 전 대법원장, 조진만 전 대법원장. 법무부 제공 |
22일 법무부에 따르면 김영삼정부 시절의 박희태 전 법무장관은 대한민국 의전서열 2위이자 입법부 수장인 국회의장에 올랐다. 제1공화국 시절의 조진만·조용순 전 법무장관, 제3공화국 시절의 민복기 전 법무장관은 대한민국 의전서열 3위이자 사법부 수장인 대법원장을 지냈다.
황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 등을 거쳐 정식으로 총리가 되면 법무장관 출신으로는 처음 행정부 2인자의 권좌에 오르는 셈이다. 총리는 조선시대 영의정에 빗대 ‘재상(宰相)’, 대통령 바로 아래라는 뜻에서 ‘일인지하 만인지상(一人之下萬人之上)’ 등으로 불린다. 법무부는 중앙부처 가운데 처음으로 국회의장·대법원장·국무총리라는 이른바 ‘3부요인’을 모두 배출하는 진기록도 세우게 된다.
법무장관을 지내고 권부의 핵심으로 이동한 이는 황 후보자 이전에도 많았다. 노무현정부 시절의 김승규·김성호 전 법무장관은 부총리급에 해당하는 국가정보원장으로 옮겼다. 국정원의 전신에 해당하는 국가안전기획부, 그리고 중앙정보부도 법무장관 출신이 이끈 시대가 있었다. 배명인 전 법무장관은 1980년대에 안기부장, 신직수 전 법무장관은 1970년대에 중앙정보부장에 각각 임명돼 법무장관이 정보기관으로 진출하는 ‘물꼬’를 텄다.
국정원장과 더불어 부총리급 예우를 받는 직위가 감사원장이다. 감사원은 사정 업무를 한다는 점에서 검찰과 기능이 비슷하다. 그 때문인지 노태우정부 시절의 이종남 전 법무장관은 김대중정부에서 감사원장을 지냈다.
‘권력의 1인자’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하는 청와대 비서실장 역시 법무장관 출신에게 개방된 자리 중 하나다. 노태우정부 시절의 김기춘 전 법무장관은 20년 가까이 지난 뒤 박근혜정부에서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냈다. 전두환정부 시절의 정해창 전 법무장관은 ‘바통’을 이어받은 노태우정부에서 청와대 비서실장을 맡아 5공과 6공의 ‘가교’ 노릇을 했다. 황 후보자 역시 총리 지명 전에 한때 청와대 비서실장 기용설이 나돌기도 했다.
김태훈 기자 af103@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