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말레이·인니, 로힝야 난민 수용키로…1년뒤 본국송환 조건

입력 : 2015-05-20 15:55:02 수정 : 2015-05-20 16:58:25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해상표류 난민 7천여명에 인도적 지원 약속…태국, 일단 보류
29일 관련 국가·국제기구 대책회의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외무장관의 난민대책 회동(EPA=연합뉴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가 동남아시아 해상에 표류 중인 미얀마 출신 로힝야족과 방글라데시 난민에게 임시 피난처를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동남아 국가의 외면 속에 선상에서 굶주림과 폭력에 시달린 이들 난민이 죽음의 고비를 넘길 수 있게 됐다.

이들 국가는 20일 말레이시아 신행정도시 푸트라자야에서 태국과 외무장관 회의를 열어 이 같은 대책을 발표했다고 AP 통신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아니파 아만 말레이시아 외무장관은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가 해상에 있는 약 7천명의 난민에게 인도적 지원을 계속하기로 했다"며 "국제사회에 의해 이들의 본국 송환 절차가 1년 안에 이뤄진다는 조건 아래 임시 피난처를 제공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른 나라도 이 같은 노력에 동참할 것을 권유했다. 임시 피난처는 태국이 아닌, 난민들이 선호하는 지역중 이동이 용이한 곳에 세워질 전망이다.

이로써 동남아 해상에 미얀마의 종교적 박해와 차별을 피해 탈출한 로힝야족과 일자리를 찾으려는 방글라데시인들이 탄 선박들이 표류하면서 대형 참사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난민사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하지만 이날 회의에 참석한 태국은 난민 지원에 한 발 뺐다. 타나삭 파티마프라곤 태국 외무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장에 나타나지도 않았다.

파티마프라곤 장관은 난민 지원이 '국내 법규'에서 허용될 수 있는지를 먼저 살펴봐야 한다면서 임시 피난처 제공을 주저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만 장관은 이에 대해 "모든 이가 국내 법규를 따를 필요가 있다"면서 "그들(태국)은 난민들을 거부했다고 명시적으로 말하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한편 그동안 로힝야족 난민 사태에 대한 책임을 부인해 온 미얀마 정부는 이날 외무부 논평에서 "바다에서 고난을 겪는 누구에게라도 인도적 지원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이런 기조 변화는 동남아 주변 국가와 국제사회의 압박에 따른 것으로,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3개국의 외무장관 회의 결과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태국이 29일 미얀마, 방글라데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15개 관련 국가와 국제기구들을 참여시켜 개최할 예정인 난민 대책 회의의 결과도 주목받고 있다.

최근 동남아 국가들이 난민선의 자국 해안 상륙을 막는 가운데 로힝야족 426명을 태운 난민선들이 이날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사이에 있는 말라카해협에서 인도네시아 어민들에 의해 구조됐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