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황종택의新온고지신] 역지즉개연(易地則皆然)

관련이슈 황종택의 新 온고지신

입력 : 2015-02-06 20:54:26 수정 : 2015-02-06 21:03:03

인쇄 메일 url 공유 - +

배려-. 사람이 사는 세상을 윤리적 공동체로 만드는 핵심 가치의 하나다. 상생과 동반성장의 기반은 배려에서 싹튼다. 배려는 따뜻한 마음으로 상대방 또는 이해관계자를 존중하는 언행이다. 배려심이란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을 도와주거나 보살피는 마음이라고 말할 수 있다. 배려하는 마음이나 자세는 어느 날 갑자기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배려하는 삶은 어렸을 때부터 습관처럼 몸에 배어야 어른이 되어 사회생활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다.

배려는 다른 사람의 처지에서 생각하라는 뜻의 한자성어 ‘역지사지(易地思之)’와 동의어라고도 할 수 있다. ‘맹자(孟子)’ 이루편에 나오는 ‘역지즉개연(易地則皆然)’이라는 표현에서 비롯된 말로서 ‘내가 그러한 처지였으면 나 역시 그랬을 것이다’라는 내용이다. 자기에게 이롭게 행동하는 ‘아전인수(我田引水)’와는 상반된 의미로 쓰인다.

맹자는 같은 문장에서 중국 하(夏)나라의 시조로서 치수(治水)에 성공한 인물로 알려진 우(禹) 임금과 순(舜) 임금이 나라를 다스릴 적에 농업을 관장했다고 전해지는 후직(后稷)에 대해 논하면서 “우 임금은 천하에 물에 빠지는 이가 있으면 자기가 치수를 잘못해서 그가 물에 빠졌다고 생각했고, 후직은 천하에 굶주리는 자가 있으면 자기의 농정 잘못으로 그가 굶주린다고 생각해서 이처럼 백성 구제를 급하게 여겼다(禹思天下有溺者 由己溺之也 稷思天下有飢者 由己飢之也 是以如是其急也)”고 말했다. 여기에서 ‘다른 사람의 고통을 자기의 고통으로 생각한다’는 뜻의 ‘인익기익(人溺己溺)’, ‘인기기기(人飢己飢)’라는 말이 나왔다.

그렇다. 배려의 요체는 자기중심이 아니라 상대의 시각에서 헤아려 보아야 한다는 점이다. ‘맹자’는 이렇게 제시하고 있다. “남을 예우해도 답례가 없으면 자기의 공경하는 태도를 돌아보고, 남을 사랑해도 친해지지 않으면 자기의 인자함을 돌아보며, 남을 다스려도 다스려지지 않으면 자기의 지혜를 돌아보라(禮人不答反基敬 愛人不親反基仁 治人不治反基智).”

황종택 녹명문화연구소장

易地則皆然: ‘그러한 처지였으면 나 역시 그랬을 것이다’ 라는 내용으로 배려를 뜻함.

易 바꿀 역, 地 땅 지, 則 곧 즉, 皆 다 개, 然 그럴 연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