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문 의원은 29일 오전 국회에서 출마기자회견을 열고 "변화와 단결로 '이기는 정당'을 만들겠다"며 출사표를 던졌다"고 했다.
이어 "이 뜻을 위해 차기 총선 불출마와 친노(친노무현) 해체를 선언하며 당의 갈등과 분열이 아닌 당 살리기에 역점을 두겠다"고 다짐했다.
문 의원은 "저 개인을 위해서는 계산하지 않겠다. 저의 정치적 미래를 염두에 두지 않겠다"며 "저에게 주어진 시대적 소명을 다하겠다. 우리 당을 살리는 데 제 정치인생을 걸겠다. 당을 살려내는 데 끝내 실패한다면 정치인 문재인의 시대적 역할은 거기가 끝 이라는 각오로 오늘 이 자리에 섰다"고 강조했다.
◇이기는 정당으로 환골탈태해야, 총선 불출마 배수진
문 의원은 "새정치연합은 창당이래 가장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지금 이 순간부터 당을 변화시켜야 한다"며 "새로운 당으로 바뀌지 않으면 총선 승리는 불가능하다. 정권교체의 희망도 멀어질 것이다. 당의 존립도 장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문 의원은 "지금은 극도의 비상 상황으로 서로를 지역으로 나누고 계파로 구분하면서 대립하고 다툴 때가 아니다. 당의 기본을 세우는 일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며 "지는 정당에서 이기는 정당으로 환골탈태해야 한다. 변화와 단결이 그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총선 전까지 당을 완전히 바꾸겠다"고 한 문 의원은 "당을 수리하는 것이 아니라 신제품으로 만들겠다. 기득권을 버리겠다"며 "대표가 되면 다음 총선에 출마하지 않겠다. 개인적인 이해관계를 뛰어넘어 선당후사의 자세로 변화와 혁신에만 전념해 기필코 당의 총선 승리를 이끌겠다"고 약속했다.
◇'정책·경제정당'으로의 변화
문 의원은 "신자유주의 성장정책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성장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소득주도성장'에 바탕을 둔 대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하겠다"며 "민주정책연구원의 역할과 위상을 강화하고 민생과 경제를 위한 일이라면 정부여당과도 협력하겠다. 정권교체에만 목표를 두지 않고 정권교체 이후를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생활정당'의 포부도 제시했다.
그는 "튼튼한 수권정당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지기반 확장이 중요하다. 네트워크 정당, 플랫폼 정당, 스마트폰 정당을 만들겠다"며 "당원이 당의 주인이라는 자부심을 갖게 만들겠다. 우리당을 지역주민들의 삶과 함께하는 풀뿌리 정당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계파갈등 불식, 공천권한은 나누고 책임은 내가 지겠다
문 의원은 "가장 강력한 당대표가 되겠다. 정부여당에게도 당 혁신에서도 대담하고 당당한 리더십을 발휘하겠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계파논란도 완전히 없애겠다"고 한 문 의원은 "이른바 '친노'(친노무현)가 정치계파로 존재한다면 해체할 사람은 저 뿐이다. 친노-비노(비노무현) 논란을 끝낼 수 있는 사람도 저밖에 없다. 김대중 대통령, 김근태 의장과 함께 노무현 대통령의 정신과 가치만 남기겠다"고 약속했다.
문 의원은 "당대표 또는 계파의 공천은 결코 없다. 공천제도를 선거전에 미리 투명하게 만들겠다. 대표의 손에서 공천권을 내려놓고 공천제도와 룰이 공천하도록 만들겠다"며 "또한 권한은 나누고 책임은 내가 지겠다"고 했다.
문 의원은 계파척결 방안과 관련해선 "공천제도를 투명하게 만드는 것이다. 대표가 공천을 좌지우지 하는게 아니라 공천 제도와 공천 룰이 적어도 선거 1년 전에 확정되고 그 룰에 따라 공천이 이뤄지게 된다면 계파를 만들고 줄서고 그럴 필요가 전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금 대선 논할 때 아니다, 당 살리는데 올인
문 의원은 대선출마에 대해 "지금은 우리가 대선을 말할 때가 아니다. 우리 당의 상황이 너무나 참담하다. 우선 대선은 다 접어놓고 당을 살리는 데 올인해야 한다"며 "그렇게 해서 당을 살려놓으면 그때 비로소 대선이 우리에게 기회가 올 것이라고 믿는다. 당을 일으켜세우지 못하면 다음 총선과 대선은 어렵다고 본다"고 했다.
문 의원은 다음 총선에서 통합진보당 출신과의 야권연대 가능성에 대해선 "진보당 출신들과의 연대는 지금은 어렵다고 본다. 국민들이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야권연대 문제는 오로지 선거 시기에 국민이 연대를 지지하느냐의 여부에 달려 있다"고 선을 그었다.
박태훈 기자 buckba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