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안보다 하후상박 더 강화 새누리당은 공무원연금 개혁과 관련해 정부안을 기본 골격으로 하되 재정절감 효과, 공무원연금 직급별 수령액 설계, 국민연금과의 형평성 등 3가지 측면에서 부족한 점을 보완한 최종안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은 정부안보다 공무원 내부 고액 수령자의 삭감폭을 확대해 저액 수령자와의 격차를 좁히는 방안을 추가했다. 특히 고액 수령금을 더 깎고 낮은 금액을 받는 하위직 퇴직자에 대해서는 인하폭을 더 줄여 ‘하후상박(下厚上薄)’ 구조를 충분히 반영했다.
구체적으로는 국민연금에는 있지만 현행 공무원연금에는 없었던 ‘소득재분배기능(A급여 개념·전체 가입자 평균소득 월액의 평균액·2014년 기준 447만원)’을 넣는 것이다. 공무원연금 수령액을 산출할 때 기존에는 현재 본인 재직기간의 평균급여만 적용했지만, 앞으로는 전체 공무원 가입자의 재직기간 평균소득을 적용해 보정하는 쪽으로 공무원연금 산식을 수정하겠다는 복안이다. 한 핵심 관계자는 “소득재분배기능을 도입하면 최고와 최저의 수령액 차이가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의 개혁안 적용 시 국민연금과 동일 방식이 적용될 신규 임용자보다 오히려 수익비가 더 불리해지는 ‘짧은 재직 기간’ 임용자에게 직접 연금 적용 방식을 고르게 하는 방안도 포함된다.
새누리당은 또 정부안보다 재정개선 효과를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안을 2016년부터 적용한다면 적자 보전금은 박근혜정부 내에서 8조원에서 3조 8000억원으로 감소하고 차기 정부 5년간 33조원에서 13조원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자 보전금이 더 줄어들도록 한 것이다. 새누리당은 개혁안 제출 후 야당과 만나 법안의 연내 처리를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그러나 새정치연합 우윤근 원내대표는 이날 세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개혁안 연내 처리에 대해 “굉장히 어렵다고 본다”며 “국민연금과의 형평성을 맞추는 등 연금제도 전반을 손봐야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린다”고 밝혔다.
김달중·박세준 기자 da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