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임산부의 날'을 맞아 보건복지부가 제일병원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와 함께 가이드북 형태인 '안전한 임신 필수지식 10가지'를 발간했다.
이에 따르면 술,파스, 사우나는 금해야 하고 파마와 염색도 가능한 피해야 한다.
하지만 커피, 공항 검색대, 치과 치료도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
파스를 패해야 할 이유는 소염진통제 '케토펜' 등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이들 성분은 태아의 동맥관 폐쇄 등을 야기할 수 있어 임신 28주 이후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허리가 심하게 아프다면 파스를 붙일 생각말고 잘 때 옆으로 눕거나 베개를 다리 밑에 두거나 댈정도가 아닌 뜨거운 수건으로 찜질하는 방법이 좋다.
태아에게 안전한 알코올 양 등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술은 무조건 먹지 않는 게 좋다.
술이 태아의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주면 지능 저하 뿐 아니라 청소년기 학습장애·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임신 중 사우나와 뜨거운 물에 들어가는 목욕은 위험하다. 임산부 체내 온도가 38.9℃ 이상 올라가면 뱃속 태아는 중추신경계 이상, 식도폐쇄증, 배꼽탈장 등을 겪는다.
파마나 염색도 되도록 미루는 게 좋다.
여러 연구를 통해 파마나 염색에 쓰이는 약물이 임산부에게 흡수되는 양이 아주 적어 태아 기형을 늘리지 않는다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지만 연구가 더 필요하다. 파마와 염색이 불가피하다면 임신 12주 이후에 하는 것이 안전하다.
하루 1잔 정도의 커피, 공항 검색대, 임플란트 등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임산부 카페인 섭취 권고량은 하루 200mg이다. 하지만 한 잔의 카페인 양이 ▲ 원두커피 135mg ▲ 인스턴트커피 100mg ▲ 녹차 30mg ▲ 콜라 40mg 등이다.
공항의 승객용 금속 탐지용 검색대는 X-선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방사선과는 무관하다. 다만 금속탐지기에서 저주파 전자기장이 나오는데, 일반 가전제품 수준이므로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치과 치료의 경우 임신 12주 전이나 26주 이후라도 필요에 따라 받는 게 좋다.
임신 중 치과 치료는 유산이나 조산, 저체중아 출산 등과 관계가 없다는 게 정설이다.
치료 과정의 마취, 방사선촬영 등도 태아에게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임플란트나 발치의 경우 12~26주 사이에 마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태훈 기자 buckba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