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법 제정·진상 규명 등 촉구 “기소권과 수사권이 보장된 세월호 특별법을 제정하라.”
15일 오후 서울광장은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시민들로 가득 찼다. 제69주년 광복절인 이날 서울 도심 곳곳에서는 세월호 진상 규명과 일본의 재무장 규탄, 평화통일 기원 집회가 이어졌다. 경찰은 16일 열리는 시복식 행사를 앞두고 바짝 긴장했지만 큰 충돌은 없었다.
세월호 참사 국민대책회의가 서울광장에서 개최한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위한 8·15 범국민대회’에는 5만여명(주최측 추산, 경찰추산 1만2000명)이 모여 세월호 특별법 재협상과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했다.
![]() |
69주년 기념 타종 박원순(맨 왼쪽) 서울시장이 15일 서울 종로구 보신각에서 열린 제69주년 광복절 기념 타종행사에서 서울시의회 의장 등과 함께 타종하고 있다. 김범준 기자 |
앞서 민주노총은 이날 오전 11시 조합원과 시민 4000명(경찰 추산 2000명)이 참가한 가운데 서울역 광장에서 ‘8·15 전국노동자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결의문에서 “침략 전쟁을 반성하지 않고 보상하지 않는 일본의 집단자위권을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며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를 위협하고 전쟁을 부추기는 한·미·일 군사동맹에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세월호 참사의 성역 없는 진상 규명과 육군 28사단 병사 죽음에 대한 진상 규명 등을 결의했다. 6·15 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는 낮 12시부터 같은 자리에서 한반도 평화통일위원회, 민주노총, 평화나비 네트워크 등 시민단체와 일반 시민을 포함한 5000명이 참가한 가운데 ‘8·15 69주년 범국민대회’를 열었다.
서울역 광장에서 행사를 마친 이들은 서울광장까지 1.6㎞를 행진한 후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위한 8·15 범국민대회에 합류했다.
이재호 기자 futurnalis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