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강이 훤히 내려다보이는 전망 좋은 아파트. 세종시로 부처를 옮긴 장·차관들의 관사이다. 이들 관사를 얻고 유지하는 데만 수십억원의 세금이 들어간다. 그러나 많은 장·차관들은 주민등록조차 옮기지 않은 채 서울에 거주하면서 세종시 관사를 별장처럼 이용하고 있다.
11일 국무조정실이 새정치민주연합 김기식 의원에게 제출한 ‘세종시 각 부처별 관사 운영 현황’에 따르면 정부는 2012∼2013년 세종시로 이전한 14개 부처의 장·차관 관사 31채의 전·월세비용으로 모두 69억3000만원의 예산을 사용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윤상직 장관의 관사가 전세 3억5000만원으로 가장 비쌌다. 이어 산업부 제2차관 관사와 교육부 서남수 장관 관사 전세가 각각 3억3000만원이었다.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은 월세 110만원짜리 관사를 이용한다.
면적으로 보면 농림축산식품부 이동필 장관의 관사가 166㎡로 가장 크다. 농축산부 차관 관사는 150㎡로 두 번째이다. 현오석 기획재정부 장관(150㎡), 교육부 서 장관(141㎡) 관사도 넓었다.
장·차관 관사에 TV와 에어컨, 침대, 소파 등을 채우는 데 수천만원씩 들었다. 보건복지부 장관 관사가 2674만원으로 가장 많이 들었고, 교육부 장관(2430만원)과 국가보훈처장(1960만원) 관사가 뒤를 이었다.
특히 올 1∼6월 이들 관사를 운영하는 데 들어간 경비만 2억3777만원에 달했다. 올해부터 관리비를 사용자 부담으로 돌리라는 국조실 지침이 있었지만 이를 따르지 않는 부처도 있었다. 국토교통부는 5월까지 장·차관 3명의 관사 관리비와 도시가스비를 대납했다. 환경부는 7월부터 관리비 고지서를 장·차관에게 보내 직접 납부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장·차관들의 관사 이용률이 현저히 낮다는 점이다. 31명의 장·차관 중에 주민등록을 관사로 옮겨 놓은 사람은 7명에 불과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부위원장의 주민등록지 공개를 거부했다.
11일 국무조정실이 새정치민주연합 김기식 의원에게 제출한 ‘세종시 각 부처별 관사 운영 현황’에 따르면 정부는 2012∼2013년 세종시로 이전한 14개 부처의 장·차관 관사 31채의 전·월세비용으로 모두 69억3000만원의 예산을 사용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윤상직 장관의 관사가 전세 3억5000만원으로 가장 비쌌다. 이어 산업부 제2차관 관사와 교육부 서남수 장관 관사 전세가 각각 3억3000만원이었다.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은 월세 110만원짜리 관사를 이용한다.
면적으로 보면 농림축산식품부 이동필 장관의 관사가 166㎡로 가장 크다. 농축산부 차관 관사는 150㎡로 두 번째이다. 현오석 기획재정부 장관(150㎡), 교육부 서 장관(141㎡) 관사도 넓었다.
장·차관 관사에 TV와 에어컨, 침대, 소파 등을 채우는 데 수천만원씩 들었다. 보건복지부 장관 관사가 2674만원으로 가장 많이 들었고, 교육부 장관(2430만원)과 국가보훈처장(1960만원) 관사가 뒤를 이었다.
특히 올 1∼6월 이들 관사를 운영하는 데 들어간 경비만 2억3777만원에 달했다. 올해부터 관리비를 사용자 부담으로 돌리라는 국조실 지침이 있었지만 이를 따르지 않는 부처도 있었다. 국토교통부는 5월까지 장·차관 3명의 관사 관리비와 도시가스비를 대납했다. 환경부는 7월부터 관리비 고지서를 장·차관에게 보내 직접 납부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장·차관들의 관사 이용률이 현저히 낮다는 점이다. 31명의 장·차관 중에 주민등록을 관사로 옮겨 놓은 사람은 7명에 불과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부위원장의 주민등록지 공개를 거부했다.

한 공무원은 “세종시에서 70㎡의 아파트에서 방 한 칸 임차해 살고 있는데, 에어컨은커녕 냉장고도 없이 지낸다”고 불만을 털어놓았다. 또 다른 공무원은 “매달 20만원의 이주지원비를 세종시에 오지도 않는 장관들에게는 왜 주는지 모르겠다”고 볼멘소리를 냈다.
김기식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관사 운영에 관해 시정조치를 요구했음에도 개선되지 않았다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세종=윤지희 기자 phhi@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