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남자도 하이힐병에 걸린다? 무지외반증 주의해야

입력 : 2014-07-01 09:30:14 수정 : 2014-07-01 09:30:14

인쇄 메일 url 공유 - +

발볼 넓고 키높이 깔창 사용하는 남성들 주의
발 넓이 고려해 편안한 신발 착용하고 스트레칭 하면 도움

 

# 20년차 직장인 이모(46)씨는 구두를 신으면 불편하고 오래 신으면 통증이 생기곤 했지만 심하지 않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참아 왔다.

하지만 최근 통증이 심해져 구두를 신을 때마다 걷는 것이 부자연스러워진 이씨는 자신의 엄지발가락을 살펴보고 깜짝 놀랐다. 병원을 찾은 이씨는 무지외반증이라는 진단을 받았고 발볼에 딱 맞는 구두가 원인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신발을 구매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이 바로 발볼이다. 동양인 특성상 한국인은 발볼이 넓은 편이기 때문에 자신의 발 사이즈에 맞는 신발을 신어도 기성화를 신었을 때 발이 불편한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조금 크더라도 발이 편한 신발을 구매하는 것이 발 건강에는 좋지만 보통 신다보면 늘어난다는 생각에 발에 딱 맞는 신발을 사는 경우가 많다.

특히 구두를 자주 신는 직장 남성의 경우 발볼을 고려하기보다 조금 불편하더라도 사이즈에 맞는 신발이나 모양이 날렵한 신발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아 발 건강을 해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1일 의료계에 따르면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 뼈의 변형으로 엄지발가락이 두 번째 발가락 쪽으로 휘어지는 질환을 말한다. 엄지발가락이 휘면서 아래쪽 뼈가 자연히 밖으로 튀어 나오게 되며 발의 변형이 계속 진행되면 통증이 점점 더 심해진다.

발병 원인은 다양하지만 주로 작은 신발이나 하이힐 등 발에 불편한 신발을 신었을 때 나타나며, 남성들은 키높이 깔창을 자주 착용하거나 볼이 좁은 사이즈의 신발을 신게 되면 압력으로 발 모양이 변형될 수 있다.

실제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후천성 무지외반증 환자는 2005년 2만 4천명에서 2009년 4만 2천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여성 환자의 비율이 남성에 비해 약 7배 정도 높지만 남성 환자들도 2005년 기준 3천2백명에서 2009년 5천2백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지용남 정형외과 전문의는 “발이 불편한 신발을 계속 신다보면 무지외반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 관절이 돌출된 상태에서 오래 걸으면 엄지발가락의 튀어나온 부위가 통증을 유발한다”며 “심해질 경우 다른 발가락들의 관절 변형으로 이어져 무릎이나 고관절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뼈가 휘기 시작하면 저절로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변형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키높이 깔창 신발 착용은 삼가고 딱딱한 신발보다는 부드러운 신발을 신는 것이 좋다.

또한 신발을 구매할 때는 발 길이와 넓이를 모두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성화를 신었을 때 불편함을 느낀다면 자신의 발에 맞는 수제화를 구매하거나 각 브랜드에서 길이와 볼에 맞는 신발을 측정해 추천하는 서비스를 이용해 자신의 발에 가장 맞는 신발을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육안으로 엄지발가락의 변형이 보이더라도 통증이 심하지 않고 변형이 크지 않다면 보조기 착용과 편안한 신발을 신는 것으로도 개선이 가능하다. 하지만 휜 정도가 심하고 일반 신발을 신었을 때 통증이 심하다면 수술적 치료를 받아야 한다.

지용남 전문의는 “무지외반증 교정술은 변형된 뼈를 깎아내고 각도를 조정해 근육과 인대 등이 제자리를 잘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수술이며 환자 연령대, 발가락 변형 정도, 통증 등을 고려해 치료해야 한다”고 말했다.

헬스팀 이새하 기자 lishya@segye.com

<세계섹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