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與野, 사전투표 '변수'에 촉각…투표율 견인할까

관련이슈 6·4 지방선거

입력 : 2014-05-30 08:46:34 수정 : 2014-05-30 08:46:34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전국 단위 선거로는 6·4 지방선거에 처음 도입되는 사전투표가 30일과 31일 양일간 시작됨에 따라 여야 각 정당이 '사전투표 변수'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이번 지방선거의 경우 수도권과 충청권, 부산, 광주 등에서 여론조사상 박빙의 판세가 형성되는 곳이 많아 이틀간 실시되는 사전투표의 투표율은 최종 선거 결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다섯 차례의 지방선거 평균 투표율은 55.2%에 불과하다. 대선과 총선에 비해 지방선거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도가 낮은 탓이다.

지난 2002년 3회 지방선거에서는 투표율이 50%에도 못미치며 지방선거 중 역대 최저 투표율인 48.8%를 기록했고, 2010년 지방선거 역시 평균 투표율 보다 낮은 54.5%에 그쳤다.

지난 대선 결과를 통해 '높은 투표율이 야당에 유리하다'는 공식이 깨지긴 했지만, 사전투표율이 높게 나타날 경우 새누리당 보다는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당에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사전투표가 금요일과 주말인 토요일에 실시되는 만큼, 야권 성향 지지세가 강한 20~40대 대학생과 직장인 등 젊은층 유권자들이 사전투표 제도를 많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투표 당일이 임시 공휴일이라고 하더라도 평일에는 투표장 방문이 어려운 직장인과 대학생 등이 주말을 이용해 사전투표에 상대적으로 많이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하고 있다.

실제로 사전투표가 처음 실시된 지난해 4월 재보궐 선거에서 직장인이 많이 거주하는 서울 노원병의 사전투표율이 다른 지역 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 4월 재보궐 선거의 사전투표율 평균은 6.93%였고 10월 재보궐 선거는 평균 5.45%지만, 서울 노원병은 8.38%로 전국 평균 보다 높게 나왔다.

윤희웅 민정치컨설팅 여론분석센터장은 "세월호 참사가 정치 불신을 낳으면서 투표율이 떨어질 수 있는 반면, 야권 성향층이 정부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기 위해 투표장에 나오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며 "투표율에 따라 정부 책임론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전투표는 전국 읍·면·동 단위당 1곳과 군 부대 밀집지역 20곳 등 총 3506개 투표소에서 오는 30일과 31일 양일간 실시된다. 투표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유권자들은 별도의 신고 절차 없이 신분증만 있으면 가까운 사전투표소를 찾아 투표권 행사가 가능하다. 이로써 이번 지방선거는 투표일인 6월 4일 당일과 사전투표 이틀을 포함해 투표 기회가 사실상 사흘로 늘어나는 효과가 있는 셈이다.

이번 6·4 지방선거의 경우 선거 당일이 임시공휴일이고 같은달 6일은 현충일이라 5일 하루만 휴가를 내게 되면 4~8일까지 5일간 '황금연휴'가 가능하다. 연휴를 이용해 나들이를 떠나는 유권자 등이 사전투표를 적극 이용할 경우 투표율 상승을 견인할 수 있을 것으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기대하고 있다.


<뉴스1>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