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세계 프리즘] 겉과 속 다른 日 핵 정책

관련이슈 세계프리즘

입력 : 2014-04-08 19:26:35 수정 : 2014-04-09 01:48:08

인쇄 메일 url 공유 - +

“미국이나 러시아 정치 지도자들은 피폭지를 방문해 핵 실상을 접하는 게 중요하다.”

오는 11일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군축·불확산 이니셔티브’(NPDI) 의장인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이 8일 아사히신문과 인터뷰서 강조한 말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등 핵보유국 지도자들이 69년 전 원폭이 투하된 일본 히로시마나 나가사키를 방문해야 한다는 그의 ‘고언’은 울림이 크다. ‘핵무기가 없는 세상’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절대명제이기 때문이다.

송민섭 국제부 기자
NPDI는 일본과 독일 등 핵비보유국들이 “핵무기 없는 세상을 만들자”며 2010년 출범시킨 외교라인 협의체다. 기시다 외상은 히로시마 회담 의제와 관련해 “국제사회의 핵 군축 실태를 투명하게 하고 핵 비확산 관련 메시지를 발신하고 싶다”고도 했다.

그런데 찝찝함은 남아있다. 이 같은 제안이 군국주의 행보에 열을 올리고 있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의 외교 수장 입에서 나와서다. 아베 총리는 지난해 8월6일 히로시마 원폭 투하 희생자 위령식에서 “우리 일본인은 세계 유일의 전쟁 피폭 국민”이라며 기시다와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 하지만 그로부터 7시간 뒤 요코하마(橫濱)에서 열린 해상자위대 항공모함 이즈모 진수식에 ‘넘버2’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를 보냈다.

아베 정권의 ‘표리부동’식 핵 정책은 최근에도 엿보였다. 중국이 일본 내 플루토늄 보유량을 계속 문제 삼자 아베 정권은 지난달 플루토늄 수백㎏을 미국에 반환키로 했다고 대응했다. 일본이 갖고 있는 무기급 플루토늄은 44t에 달한다. 5개 핵보유국(미국·영국·프랑스·중국·러시아) 다음이다. 아베 정권은 두루뭉술한 반환 발표로 주변국의 보유량 공개와 확실한 비핵화 선언 요구를 덮어버렸다.

아베 정권의 이같은 행보를 감안하면 “핵 군축을 위해서라도 핵보유국들과 다각적으로 교섭할 필요가 있다”는 기시다 발언은 핵무장을 꾀하는 포석으로 읽히기도 한다. 기자만의 기우이길 바란다.

송민섭 국제부 기자 stso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