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6205달러인 것으로 니타났다.
국민계정 통계 기준이 바뀌고 수출증가에 힘입어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당초 예상을 웃도는 3.0%를 기록했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3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6205달러(2869만5천원)으로 전년(2만4696달러)보다 6.1%(1509달러) 늘었다.
2007년 2만달러 선에 진입한 1인당 국민소득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만달러대로 떨어진 후 상승세로 돌아섰다. 그러나 2011년 2만4302달러에서 2012년 2만4696달러로 394달러 늘어나는데 그치는 등 최근 증가세가 둔화됐다.
2013년 실질 GNI는 작년보다 4.0% 증가해 실질 GDP 성장률을 상회했다.
실질 GNI는 물가 등을 감안한 국민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 수치가 늘어난 것은 지난해 교역조건이 나아져 실질 무역손실규모가 2012년보다 줄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민의 '주머니 사정'과 가장 가까운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4690달러(1580만원)로 1년 사이 1020달러 불어났다.
정영택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공식 통계는 아니지만 종교단체 등 민간 비영리단체를 빼면 개인의 소득(총처분가능소득)은 1만4000달러, 우리돈으로 1500만원 내외인 것으로 추산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실질 GDP도 3.0% 성장해 전년 수준(2.3%)을 넘어섰다.
이는 민간소비가 꾸준히 늘어난 가운데 건설투자와 수출이 견조하게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원·달러 환율 하락(연평균 2.8%)도 GDP성장에 도움을 줬다.
한국은행은 이번 국민계정부터 새로운 국제기준의 이행 등에 따라 새로운 국민계정체계(2008 SNA)를 적용하고 기준년도를 2005년에서 2010년으로 바꿨다.
이에 따라 2010년 신계열 명목GDP는 1천265조3000억원으로 구게열(1천173조3000억원)보다 92조원(7.8%) 커졌다.
2001∼2012년 실질GDP 연평균 성장률(신계열) 역시 4.2%로 구계열의 3.9%에 비해 0.3%포인트 높아졌다.
박태훈 기자 buckba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