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저체중아, 또래보다 키 작을 가능성 커”

입력 : 2014-02-02 20:17:11 수정 : 2014-02-02 20:17:11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성모병원 청소년 1750명조사
“신체발육 정기적 추적 관찰 필요”
저체중으로 태어난 아기가 청소년기에 키도 작고 몸무게도 적게 나갈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서병규·조원경 교수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 2011년 자료를 토대로 10세에서 18세 사이 청소년 1750명(남자 927명, 여자 823명)을 조사한 결과, 태어날 당시 체중이 적을수록 청소년기에 키와 체중이 작게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저체중으로 태어난 청소년은 193명(11.3%), 정상체중은 1366명(77.7%), 과체중은 191명(10.9%)이었다. 체중군별 평균 몸무게는 저체중 2.56㎏, 정상체중 3.25㎏, 과체중 3.98㎏이었다. 이 같은 비율은 미국·일본 등 다른 나라와 비슷했다.

미숙아로 태어난 아기가 링거를 맞으며 영양을 공급받고 있다. 미숙아를 포함한 저체중 아기는 키가 제대로 자라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저체중군은 또래에 비해 키가 작고 몸무게도 적게 나갔다. 각 체중군의 신장 표준편차점수(0보다 크면 조사대상이 평균 이상, 0보다 작으면 평균 미만)는 저체중군 -0.19, 정상체중 0.15, 과체중군 0.66이었다. 몸무게 표준편차점수도 각각 -0.36, -0.06, 0.28로 나타났다. 반면 태어날 때 체중과 청소년기의 비만·대사증후군은 관계가 없었다.

연구팀은 “저체중 아기는 출생 시 사망 위험이 크고 다 자랐을 때 또래보다 키가 작을 가능성이 크다”며 “몸무게가 적게 태어난 아이는 연령에 맞게 신체가 잘 발달하고 있는지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의들에 따르면 생후 첫 1년은 약 20∼30㎝, 1∼2세 때는 약 12㎝가 크고, 3세부터는 성장 속도가 감소해 1년에 약 5∼7㎝씩 자란다. 24개월 아기의 신장과 ‘부모 중간키’를 비교하면 저성장을 일찌감치 가늠할 수 있다.

24개월 신장에 2를 곱한 수치가 ‘부모 중간키’보다 5㎝ 이상 작으면 성장 지연을 의심해야 한다. ‘부모 중간키’는 남자아이는 ‘아버지+어머니 키+13’의 절반, 여자아이는 ‘아버지+어머니 키-13’의 절반으로 계산한다. 3세 이상의 소아가 매년 4㎝ 미만으로 자란다면 저성장일 가능성이 크다. 이후 10세 남자아이는 사춘기 직전까지 연간 5㎝ 키가 큰다.

이현미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