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모바일 등 새로운 수요 대응 못해

산업부에 따르면 작년 세계시장에서 반도체 칩 판매액은 3179억달러이고, 이 중 한국 업체는 15.8%(501억달러)를 차지한 것으로 추산됐다. 이에 힘입어 일본(13.9%)을 제치고 미국(52.4%)에 이어 점유율 2위를 기록할 것이 유력시된다.
김정일 산업부 전자부품과장은 “본격적인 반도체 개발에 나선 지 약 30년 만에 그동안 넘을 수 없던 벽으로 느꼈던 일본을 앞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세계시장 점유율을 반도체 칩 종류별로 보면 메모리는 2010년 49.8%에서 2013년 52.7%로, 시스템 반도체는 2.9%에서 5.0%로, 기타 소자는 7.4%에서 10.4%로 각각 커졌다.
일본은 메모리 반도체의 경쟁력을 잃고 모바일용 반도체 등 새로운 시장수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해 1988년 51%에 달하던 점유율이 급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정부는 국내 반도체 산업이 메모리에 치중해 발전한 만큼 앞으로 시장규모가 약 4배인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 더 큰 관심을 두고 지원을 집중할 방침이다. 아울러 2012년 현재 장비와 소재 분야에서 국산화율이 각각 20.6%, 48.5%에 머물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이를 높이는 데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한편 반도체 칩과 장비·소재를 포함한 세계시장 규모는 지난해 4107억달러로 추산됐다.
황계식 기자 cul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