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남수단 분쟁 ‘제2 르완다’ 우려

입력 : 2013-12-25 18:49:23 수정 : 2013-12-26 01:48:38

인쇄 메일 url 공유 - +

열흘 새 수천명 사망, 8만명 피란
美, 특사 파견 정부·반군 협상 종용
정치권선 “원조 중단” 경고 나서
2011년 수단에서 분리독립한 이후 최악의 유혈사태를 겪고 있는 아프리카 남수단이 제2의 르완다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르완다 사태는 1994년 4∼7월 양대 부족인 투치족과 후투족 간 인종학살로 당시 유엔 추산으로만 약 100만명이 학살됐다.

영국 BBC방송 등에 따르면 남수단 정부군은 24일(현지시간) 반군 거점 중 한 곳인 종글레이주 보르를 재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살바 키르 남수단 대통령은 이날 기자들에게 “정부군이 보르를 탈환했다”며 “남은 반군세력에 대한 소탕작전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군은 앞으로 남수단 주요 유전지대인 유니티주 벤티우를 탈환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남수단 분쟁은 지난 15일 최대 부족인 딩카족과 누에르족 사이의 갈등 양상을 띠고 시작됐다. 키르 대통령을 배출한 딩카족 독주에 리에크 마차르 전 부통령이 이끄는 누에르족이 반기를 든 것이다. 정부 내 권력투쟁으로 시작된 남수단 사태가 양대 부족 간 인종학살로 번지고 있다.

토비 랜저 유엔 인도주의 조정관은 이날 “(남수단 유혈사태로) 지난 열흘 새 수천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유엔은 벤티우와 수도 주바 인근 3곳에서 주민들 대량 매장지를 발견했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남수단 사태 악화를 막기 위한 외교·군사 노력을 병행하고 있다. 미군 아프리카 사령부는 KC-130 수송기와 50명의 미군을 지부티에서 우간다로 이동시켰다고 미 국방부가 이날 밝혔다. 미국은 또 도널드 부스 남수단 특사를 현지에 파견해 정부군과 반군 간 협상을 종용하고 있으며 이 협상을 케냐, 우간다,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등의 국가들이 감독하도록 중재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미국 정치권은 남수단에 대한 원조 중단을 경고했다. 연방 상·하원 일부 의원은 24일 키르 대통령에게 보낸 공개서한에서 “어떤 정치 지도자든 군사적인 방식으로 권력을 장악, 유지하려 한다면 향후 미국과의 대화와 미국의 원조를 어렵게 할 것”이라며 키르 대통령에게 상황 해결 의지를 밝힐 것을 촉구했다고 미 의회전문매체 더힐이 보도했다.

송민섭 기자,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윤아 '청순 미모'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