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최근 수산물 매출이 줄어드는 가운데 전어와 꽃게 등 서해산 수산물이 각광받아 매출이 급증했다.
일본과 거리가 먼 서해산 수산물은 안전할 것이라는 생각으로 이를 찾는 소비자가 많기 때문으로 업계는 분석했다. 반면 동해와 남해산 수산물의 매출은 큰 폭으로 줄어들어 바다별로 명암이 극명히 엇갈렸다.
이마트에서 지난달 1일부터 이달 5일까지 수산물 매출은 작년 동기보다 7.5% 감소했다.
이 가운데 동해·남해에서 잡히는 고등어와 갈치 판매는 각각 31.2%, 11.2% 하락했다. 일본과 가까운 오호츠크해산 명태는 48.1% 줄었다.
반면 서해산인 전어 매출은 무려 120.7% 증가했다. 꽃게는 65.2% 증가했다.
아예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수입된 생선도 인기를 끌었다.
세네갈산 갈치와 노르웨이 연어 매출은 각각 131%, 14.9% 신장했다. 롯데슈퍼의 지난달 수산물 매출은 작년 동기보다 14.3% 감소했다.
서해산 수산물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해조류는 268.4%, 조개류는 119.5% 각각 급증했다. 새우(38.2%)와 꽃게(24.6%) 판매도 호조였다.
그러나 남해와 동해산 수산물은 눈에 띄게 매출이 감소했다.
삼치(남해) 판매가 61.5% 급감했고, 고등어(남해)와 꽁치(동해 또는 수입)도 각각 31.6%, 35.6% 줄었다. 오징어(동해)는 17.7% 감소했다.
같은 어종도 산지별로 온도차가 컸다. 올해 수입산 갈치 매출은 132.8% 증가한 반면 국산 갈치(남해) 매출은 41.1%나 줄었다.
온라인 마켓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났다.
G마켓의 8월 28일∼9월3일 수산물 매출을 보면 일본산이 많은 고등어(-19%)와 생태(-40%)는 감소했다.
그러나 전어(서해) 매출은 작년 동기보다 222% 증가했다. 남해 가운데서 서쪽에 가까운 완도산 전복은 387% 증가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