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日문자 ‘가타카나’ 신라서 유래 가능성”

입력 : 2013-09-02 20:33:13 수정 : 2013-09-03 00:09:12

인쇄 메일 url 공유 - +

히로시마大 고바야시 교수 “日 건너간 불경서 유사문자” 일본에서 외래어나 이름 등을 표기할 때 주로 사용하는 소리 글자인 ‘가타카나(片假名)’가 신라에서 전해졌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히로시마(廣島)대학의 고바야시 요시노리(小林芳規·사진) 명예교수와 한국 연구진은 신라시대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불경의 일부에서 가타카나의 기원으로 보이는 문자들을 발견했다고 NHK가 2일 보도했다.

가타가나의 기원이 되는 글자가 발견된 불경은 현재 일본 나라(奈良)의 도다이지(東大寺)가 소장하고 있는 ‘대방광불화엄경’으로, 서기 740년쯤 신라에서 만들어진 뒤 나라시대 일본에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불경에서는 나무나 상아같이 단단하고 뾰족한 필기구인 ‘각필(角筆)’을 활용해 먹으로 쓴 한자 옆에 글자를 새긴 것이 360군데 발견됐다. 글자들은 외형이 한문을 축약한 형태인 데다 한자 옆에 발음법을 표기한 것으로 추정돼 가타카나와 유사성이 엿보인다고 고바야시 교수는 밝혔다. 그는 “한자를 축약해 만든 가타카나의 근원이 한반도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동안 일본에서는 가타카나가 헤이안(平安)시대(794∼1192년)에 일본에서 독창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주장이 주류 학설로 인정돼 왔다.

도쿄=김용출 특파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