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수입 소형차시장 獨 업체 4곳 자존심 대결

입력 : 2013-08-19 19:29:20 수정 : 2013-08-19 19:29:20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해치백 갖추고 가격대도 낮춰, 국산 중대형차 수요자까지 유인
폴크스바겐 디젤 골프 독주속
벤츠A클래스·아우디A3 등도
디자인·성능·연비 앞세워 추격전
“나의 퍼스트 ○○○.”

국내 수입차시장을 장악한 4개 독일 업체는 한결같이 자사의 엔트리 모델을 이처럼 소개한다. 차는 작지만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벤츠·BMW·아우디·폴크스바겐을 ‘애마’로 둘 수 있다는 강점을 내세운 듯하다. 주 타깃도 20∼30대 젊은 층으로 같다. 이와 관련해 현대모비스의 대학생 설문에서 ‘첫 차를 수입차로 사겠다’는 답변이 지난해 17.3%에서 올해 31.3%로 껑충 뛰었다. 각 브랜드의 전체 소비층이 젊어진 가운데, 더욱 젊은 잠재적 소비자도 늘고 있는 셈이다. 당장은 볼륨 모델이 아닌데도 소형차 시장에 공들이는 이유다. 가격 면에서 경쟁상대인 국산 중대형차 수요까지 끌어들여 시장을 키우는 소형 수입차들의 자존심 싸움을 들여다봤다.

◆“우린 골프와 달라”

19일 업계에 따르면 인기 수입 브랜드의 소형차인 BMW 1시리즈, 아우디 A3, 벤츠 A클래스, 폴크스바겐 골프의 공통점은 해치백이라는 점이다. 골프를 제외하고는 각 브랜드에서 가격이 가장 낮게 형성된 모델들이다. 재밌는 건 BMW·벤츠·아우디가 “프리미엄 브랜드로서 골프와 한데 엮일 수 없다”고 주장하는 것. 이에 대해 폴크스바겐은 “소비자로서는 같은 비교 대상이지만 판매량에서 너무 차이가 커서 그런 것 아니겠느냐”고 진단했다.

실제 지난달 출시된 7세대 골프의 한 달간 판매량은 1041대인데, BMW가 지난해 10월 들여온 1시리즈 판매량(1027대)을 넘어섰다. 아우디가 A3 가솔린 해치백을 들여왔다가 4년여 동안 1000대도 못 팔았던 것과도 대조적이다. A클래스 출시 전까지 메르세데스-벤츠의 엔트리 모델인 B클래스도 한해 1000대를 넘지 못할 정도로 부진했다.

일각에선 골프가 태생적으로 디젤 해치백이라는 것과 7세대에 이를 때까지 발전을 거듭한 모델인 것과 달리 다른 브랜드들은 여러 라인업 중 하나일 뿐인 것에서부터 경쟁상대가 될 수 없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폭스바겐코리아 관계자는 “골프는 우리 브랜드의 자존심이라 상징성이 있는 모델”이라며 “브랜드 입성을 유도하기 위한 모델들과는 다르다”고 밝혔다.

골프의 독주가 이어질 태세지만 폴크스바겐도 고민이 없는 것은 아니다. 7월 출시한 골프가 4월에 출시한 ‘동생’ 폴로의 시장을 차츰 잠식하고 있는 것. 7월 폴로의 판매량은 전달의 절반가량인 137대로 급감했다. 폭스바겐코리아가 당초 폴로를 1월에 출시하려다 ‘팀킬’(같은 브랜드끼리의 경쟁)을 막기 위해 3개월이나 늦게 출시됐다.

◆A클래스의 선전, A3의 변신 기대

현재로선 출시 일주일을 앞둔 벤츠 A클래스에 대한 기대가 가장 크다.

최근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MBK)가 강원 인제 서킷에서 시승행사를 연 A클래스는 안정적인 주행이 가장 큰 장점이다. 운전석 높이가 다른 경쟁 차종들에 비해 낮은 편이라 속도감이 바로 전해온다. 구불구불한 국도에서 시속 80㎞ 이상으로 달리면서도 불안함이 없다. 가속력과 브레이크 시스템은 국내 도로에서 다이내믹한 주행이 가능할 정도는 된다.

내부 디자인은 항공기 조종석에서 차용해 20대 감각이고, 다른 소형 수입차들과 구분되는 외형으로는 역시 커다란 ‘세 꼭지별’이 달린 전면부다. 신형 E클래스처럼 후반부로 가면서 평행선을 이루는 테일램프 등을 채용해 차체가 커 보이는 효과를 노렸다. 공인연비는 리터당 18㎞인데, 실 연비도 이와 유사하다. 비슷한 가격인 B클래스와 경쟁하지 않을까 우려했더니 MBK 측은 “A클래스는 운전의 재미를 추구하는 싱글이나 자녀가 없는 젊은 커플이 주 타깃이고, B클래스는 넓은 적재공간과 편안한 주행감을 선호하는 젊은 가족 단위 고객이 주 타깃”이라고 밝혔다.

가솔린 엔진을 단 A3 해치백으로 고전한 아우디는 내년 1월에 3세대 모델을 출시한다. 처음으로 세단이 추가되는 3세대 A3는 국내 소형 수입차 중 가장 연비가 좋을 것으로 전망된다. 3000만원 중반∼4000만원 중반인 경쟁차들과 가격이 유사할지가 관건이다. 아우디코리아 관계자는 “새 A3는 경쟁사보다 품질이 월등하다는 것을 자신한다”며 “국내에서 대부분의 소형차가 경제적인 배경으로 선택될지 몰라도 프리미엄 브랜드로서 차별화되기 위해서는 품질에 더욱 매진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실제 헝가리에서 시승한 A3 세단의 가속력과 연비는 다른 소형 수입차를 능가했다.

정재영 기자 sisleyj@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민 ‘매력적인 미소’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