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북측으로부터 통보를 받은 직후 유관 기관에 이 사실을 전파해 대비하도록 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이 당국자는 "금강산댐으로 불리는 임남댐은 1986년 건설을 시작한 이래 2003년 완공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북측이 금강산댐의 방류를 통보한 것은 2002년 6월과 2004년 8월에 이어 이번이 3번째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강산댐은 폭 710m, 높이 121.5m로 최대 저수용량이 26억t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댐의 공사가 시작된 뒤 남한 사회 일각에서는 이 댐이 북한의 '수공(水功)'에 이용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따라 1989년 남쪽으로 약 16km 떨어진 지점에 '평화의 댐'(1차 공사)이 세워졌다.
북한은 2002년 1월 17일부터 2월 5일까지 예고 없이 이 댐의 물 3억5천만t을 방류한 데 이어 같은 해 5월 31일 방류 계획을 남측에 사전 통보한 뒤 그해 6월 3일부터 25일간 3억3천100만t의 물을 방류한 바 있다.
한편 북한은 제2차 개성공단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이 열린 지난 10일에도 우리 측에 예성강 발전소(황강댐) 방류 계획을 사전 통보한 바 있다.
당시 북한은 오후 7시께 전통문을 통해 "집중 호우로 예성강 지역에 수위가 높아졌기 때문에 오늘 자정에 예성강 발전소의 수문 하나를 열어 수위를 조절하겠다"고 통보했다.
북한의 이런 모습은 이명박 정부 당시 남북간 팽팽한 대립 속에서 걸핏하면 사전 통보 없이 황강댐 등의 물을 방류해 임진강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했던 것과 비교되는 상황이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