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신궁 미사일 품은 '복합비호' 연내 전력화…내달 시험평가

입력 : 2013-05-28 14:48:41 수정 : 2013-05-28 14:48:41

인쇄 메일 url 공유 - +

'30mm복합대공화기'지난주 수리온 전력화 현장서 첫 공개
지난 20일 육군항공학교서 공개된 30mm대공화기 시제2호차.(사진=순정우)
최근 육군의 수리온헬기 전력화행사에서 대공전차 '비호'와 대공미사일 '신궁'을 결합한 신개념 복합대공화기 공개된 가운데 연내 실전배치 될 예정으로 밝혀졌다.

28일 군 관계자는 "K-30 비호 대공장갑차에 대공 유도탄 신궁 미사일을 장착한 복합대공화기 전력화를 앞두고 있다"며 "다음달 두 차례 진행되는 운용시험 평가에서 대공포와 미사일의 정확도를 테스트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공개된 이 대공화기의 정식명칭은 '30mm 복합대공화기'로 일명 '복합비호'로 불리기도 한다. 비호 자주대공포의 포탑 양쪽에 신궁 미사일 각 2기씩을 장착했다.

이를 위해 비호 자주대공포에 신궁 미사일 발사기와 구동장비, 전원공급기 등을 설치하고 기존의 사격통제체계에 신궁 미사일의 통제기능도 추가했다. 일반적으로 사거리 3㎞ 이내에서는 대공포가, 3㎞ 이상의 목표물에는 미사일의 명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복합대공화기가 전력화되면 고도 3㎞ 이상 목표물에 대해서는 신궁으로 대응하고 만약 명중에 실패했을 경우 비호로 즉각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다.

복합비호는 지난 2005년부터 배치한 미군의 'M6 라인베커'와 비슷한 개념이다. M6는 기존 M2 브레들리 장갑차에 25㎜ 체인건 1문과 스팅어 미사일 4발을 장착했다.
복합대공화기에 부착된 '신궁 미사일' 발사관.(사진=순정우)
한 군사전문가는 "복합비호는 기존 비호의 단점이던 연사시 달아오는 총열로 사격불능이 되더라도 신궁미사일이 대처가 가능한점만 따져봐도 전술적 가치가 크다"고 말했다. 또 그는 "이같은 복합비호는 저공침투하는 비대칭전력과 고속으로 이동하는 고정익 적 항공기에 모두 대처 가능하기 때문에 일종의 방패막 기능으로 특정지역에 항공접근거부가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비호'는 25t 궤도형 장갑차량에 분당 600발 발사가 가능한 30㎜ 기관포 2문을 탑재하고 있다. 17㎞ 거리의 목표물 탐지가 가능하다. 전자광학 추적장치(EOTS)가 있어 7㎞이내 표적을 주야간 자동 추적해 사정거리(3㎞) 안에 들어오면 타격한다.

'신궁'은 최대 사거리 7㎞의 저고도 지대공 유도무기로 침투하는 적 항공기와 헬기를 마하 2.1의 속도로 날아가 타격한다. 목표물에 근접하면 720개의 파편으로 쪼개져 적항공기를 파괴해 명중률이 90% 이상에 달한다.

순정우 기자 chif@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윤아 '청순 미모'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