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이 머리 아픈 것인가요?
![]() |
조완호 전 중앙대 국문과 교수 |
젊은 인지과학도가 쓴 ‘철학의 나무’는 과학철학의 입문서 내지 철학적 사고를 과학으로 풀어내는 데 탁월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과학적 사고를 빌려 서양철학의 핵심적인 내용을 살펴보고 정리합니다. 대개 탁월한 서양 철학자들은 과학자들과 교류가 깊습니다. 16세기 스피노자는 과학자인 동시에 철학자이자 신학자였지요. 다만 그는 시대를 잘못 태어났는지 당대 사람들은 거의 그의 진가를 알아보지 못했지요. 비트겐슈타인은 항공기 역학으로 유명한 과학자이지요. 그러나 그는 러셀에게서 수학과 철학을 공부하면서 우리가 사용하는 말을 숫자로 환산하는 새로운 논리를 개발했습니다. 고교 수학시간에 배웠던 ‘명제논리(propositional logic)’가 그것입니다. 이 논리 체계는 현대 컴퓨터의 구조를 만드는 논리적 기초 원리로 활용되었습니다. 이렇게 컴퓨터의 탄생에서도 철학자의 도움이 있었던 것입니다. 컴퓨터는 공학적 원리와 숫자로만 이뤄진 게 아닙니다.
![]() |
박제윤 지음/함께북스 |
향후 학문도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경계가 허물어질 날이 올 것입니다. 철학을 어렵게 만들고 접근하기 어렵게 한 원인 가운데 하나가 바로 학문 간의 벽이었습니다. 철학을 울타리 안에 가둬놓으니 아무도 접근하기 어려웠던 거죠. 이에 반해 과학은 인류 발전에 얼마나 큰 공헌을 했는지는 모두가 아는 사실이지요. 저자는 또한 인식론과 논리학을 중심으로 서술해 철학을 과학적으로 사고하는 데 큰 도움이 되도록 꾸몄지요. 입시철만 되면 논술 때문에 수험생들이 애를 먹지요. 논리학을 도입해 철학을 이해시키면, 자녀가 문제의 논지를 빠른 시간 내 파악하는 방법도 길러줄 것입니다.
조완호 전 중앙대 국문과 교수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