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시에 북한에 출구 전략의 메시지를 던진 것이기도 하다. 북한의 도발은 용납하지 않되 개방 시 전폭적인 지원을 하겠다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재천명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청와대 윤창중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개성공단 조업중단 책임은 북한”이라는 점을 명확히 밝히면서도 북한을 자극할 수 있는 언급을 피한 것은 이런 맥락에서다. 윤 대변인은 “정부는 북한 의도를 정밀 분석 중”이라고 했다.
![]() |
박근혜 대통령이 9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북한의 개성공단 잠정 중단 사태에 대해 “매우 실망스럽다”고 우려를 밝히고 있다. 남제현 기자 |
류길재 통일부장관도 이날 국회에서 열린 한반도평화포럼 주최 ‘박근혜정부 통일·외교·안보정책 전망과 과제’ 좌담회에서 “정부는 북한의 어떤 위협에도 굴하지 않고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는 분명한 목소리를 내고 그에 걸맞은 행동을 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 |
북한이 개성공단 가동을 중단시킨 9일 지붕 위까지 짐을 싣고 공단에서 귀환한 차량이 경기도 파주시 경의선 남북출입사무소 앞에 주차돼 있다. 차량 너머로 보이는 먹구름이 폐쇄 위기에 놓인 개성공단의 현실을 보여주는 듯하다. 파주=연합뉴스 |
그럼에도 청와대는 남북 대화의 문을 열어두는 분위기다. 북한의 벼랑 끝 전술은 결국은 대북 지원을 전제로 한 만큼 극단적인 상황으로 치닫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박 대통령이 “개성공단의 정상적 운영이 어려워지면 우리 기업의 피해 보전을 위해 남북협력기금이 지출될 것”이라고 밝힌 것과 무관치 않다는 것이다.
박 대통령이 정치권에서 쏟아지는 비판에도 흔들리지 않고 원칙과 신뢰를 관철해 왔듯이 남북관계도 자신의 소신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현재로선 박 대통령이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입장을 바꿀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남상훈 기자 nsh2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