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위축소우회술, 마른 당뇨에 효과

입력 : 2013-03-24 17:53:57 수정 : 2013-03-24 17:53:57

인쇄 메일 url 공유 - +

혈당 높고 조절 어려운 환자
수술 후 정상 가깝게 좋아져
비만을 동반하지 않은 마른당뇨병의 새로운 치료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위축소우회술(위절제수술로 크기를 줄여 비만을 치료하는 시술법)이 혈당이 높고 조절이 잘 안 되는 환자에게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당화혈색소(HbA1C)가 높으면 약물이나 인슐린으로는 관리가 어렵지만 수술 효과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외과 허경열(사진) 교수와 비만대사수술 분석 전문가인 호주의 존 딕슨 교수는 한국과 대만에서 위축소우회술을 받은 체질량지수 30 이하의 2형 당뇨병 환자를 1년 이상 관찰한 결과를 분석했다.

허 교수는 마른당뇨환자 98명을 수술 전 당화혈색소 9.0% 이상과 미만으로 나눠 연구했다. 당화혈색소가 9% 미만이었던 56명은 수술 전 평균 7.8%에서 수술 후 6.9%로 0.9%포인트 감소했고, 평균당화혈색소가 9% 이상이었던 42명의 환자군은 수술 전 10.3%에서 수술 후 7.1%로 3.2%포인트 줄어들어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허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4월에 대만에서 개최되는 세계비만대사수술학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딕슨 교수는 순천향대병원과 대만에서 위축소우회술을 받은 103명의 환자를 분석해 수술 전 평균 당화혈색소가 9.1%에서 1년 뒤 6.8%로 감소되었다는 결과를 지난해 12월 영국의 다이어베틱 메드신(Diabetic Medicine)이라는 논문집에 발표했다.

딕슨 교수는 “수술 전 체질량지수가 너무 낮거나 당뇨병의 유병기간이 길 때 췌장 기능을 반영하는 시펩타이드(C-peptide)가 낮으면 수술 결과가 좋지 않은 영향을 주지만 당화혈색소는 수술 후 정상에 가깝게 좋아지는 현상을 보였다”며 “당화혈색소가 수술 전후 예후인자로는 덜 중요하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치료 전 당화혈색소 수치가 높으면 수술 후에도 당화혈색소가 크게 호전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수술에는 반응을 잘한다는 것이다.

김신성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